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기술사

건축물 해체(철거)제도, 해체계획서 작성

by 정확한 해설 2022. 12. 25.

1.철거대상건축물

    1) 신고대상

        주요구조부를 해체하지 않는 건축물

        연면적 500m2이하, 높이 12m 미만, 3개층 이하

     2) 허가대상

        신고대상 제외 건축물

        그밖에 지방자치단체 조례로 정한시설

2. 해체계획서 작성기준 

    1) 해체공사 개요

            현장명, 소재지, 사업주, 면적, 구조, 층수, 시공자, 방법, 범위, 기간, 물량, 폐기물 운반및 처리 방법 등

    2) 사전준비단계

         가) 인접건축물 및 주변현황 조사, 지하매설물 조사, 지하건축물 조사

         나) 해체 대상 건축물 조사 : 건축물 부재 및 지반 특성, 변위 및 변형, 구조안전성 평가

         다) 유해물질 및 환경공해 조사 : 석면조사, 오염토 조사, 소음, 진동, 비산먼지 및 인근지역 피해가능성

    3) 해체공사 계획 및 구조안전

         가) 지하매설물 조치계획 :전기, 상하수도, 가스, 난방배관, 각종케이블 및 오수정화조

                                                   이동, 해체, 보호에 대한 조치계획 작성

         나) 해체공법 선정 :

               내장제 해체, 구조물 해체계획, 장비 운영 계획, 해체 순서도, 부재 해체공사, 폐기물 운반계획, 구조보강공사

         다) 해체장비 사용계획 : 굴삭기, T/C, 양중장비, 고소작업차 등

         라) 가시설물 설치계획 : 외부가설시설, 가시설물, 외곽펜스, 구조보강, 수직추락낙하물 시설, 보행자보호계획

         마) 해체작업순서 : 고층부, 저층부, 지하층 해체순서

         바) 구조안전계획 : 해체순서별 구조설계

    4) 안전관리계획

         가) 해체작업자 안전관리 :

               출입통제계획, 살수작업자및 유도자안전관리, 건축물 내부 안전통로, 개인보호구 지급 및 착용, 하체작업자 직무별 안전교육

         나) 인접건축물 안전관리 : 단계별 인접건축물 안전대책, 지하층 해체시 인접건축물 안전관리

         다) 주변 통행, 보행자 안전관리 : 도로및 통행 안전관리 계획, 안전시설물 계획, 작업차량 이동 안전관리

         라) 화재 및 폭발물 안전관리 : 화재, 전기, 폭발물 안전관리

    5) 환경관리 계획

         가) 소음, 진동등의 관리 : 소음 진동 장비운용계획, 저감계획, 수질오염방지계획, 오염토 반출계획

         나) 해체물 처리계획 :폐기물 보관 수집, 운반, 성상별 분리, 배출계획

         다) 부지정리 : 해체폐기물 및 잔재물 유무/ 평탄작업 및 배수로 정비/ 보도, 통행로, 인접건물 접근로 복구

 

출처 : 건축물 해체계획서 작성 매뉴얼 및 표준서식, 국토교통부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