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계약자형 공동도급은 공동수급체구성원 중 주계약자를 선정하고, 이 주계약자가 project의 공사 수행에 관하여 계획관리·조정업무를 담당하며, 해당 건설 project의 계약 이행 책임에 대해서도 연대책임을 지게 되는 이행방식이다. 주계약자는 해당 건설 project의 실적 산정시, 자사(自社)의 분담공사 외에, 다른 공동수급체구성원의 실적시공금액의 50%를 실적산정에 추가로 인정받는다.
기준점은 공사시공에서 고저(高低)의 기준을 삼고자 설정하는 원점으로, 기준점은 건축물의 높고 낮음의 기준이 되며, 현장담당원과 시공책임자의 입회하에 이동 및 변형0 등의 우려가 없는 곳을 선정하여 표시하고 확인하며, 보호조치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설계시에 건축할 건물의 지반선(G.L)은 현지에 지정되거나 입찰전 현장설명시에 지정된다.
기준 먹매김(골조)은 건축물을 똑바로 세우기 위하여 내벽 및 외벽의 틀을 잡아주고 건물의 수직수평을 위하여 설계도서에 따라 버림 concrete면 및 각 층 slab에 표시하는 것이다. 기준 먹매김 건축물을 똑바로 세우는 것은 기준 목매김놓기가 그 출발ㄱ점이다.
마감(세부) 먹매김은 바닥마감, 창 높이, 문 높이, 천장 높이 등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실내공간의 높이가 도면과 시공상의 오차를 현실적으로 수정·조율하여 골조 외의 공정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강관틀비계는 비계구성부재를 미리 공장에서 틀형태로 생산하고 이것을 현장에서 사용목적에 맞게 조립사용하는 비계로 조립 및 해체가 신속·용이하다. 일반적으로 외줄비계에 비하여 작업성, 안정성을 더 고려한 것으로 외부비계 및 내부비계로서 많이 이용되며 하단에 바퀴(caster)를 달아 이동을 가능하게 한 이동식 비계로도 사용된다.
이동식 비계는 작업장소 전체에 비계를 설치하기에는 비경제적이고 일시적인 작업을 할 때 비계틀(주틀)을 만들어 하부에 바퀴 구름장치(각륜, caster)를 달아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비계이다.
System 동바리 시스템 동바리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거푸집 동바리의 각목, 파이프써포트(pipe support), 혹은 강관틀(B/T) 지주 등은 작용하중이 크거나 층고가 높은 장소에 설치하기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에 지주를 부품화, 조립화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작용하는 하중을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게 만든 가설구조물을 말한다.(by KOSHA) system shoring은 수직하중을 지지하는 수직재, 수평하중을 지지하는 수평재, 가새(bracing), 상부 U-head(screw head), 하부(jack base), 수직수평 연결재 등으로 이루어진 동바리이다.
낙하물 방호선반은 공사(작업)중 재료(자재)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재해)를 방지(예방)하기 위하여 건물 외부로 내밀어 설치하는 강판재이다. 건설공사 중 낙하물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자, 통행인 및 통행차량 등에 낙하물로 인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가설물이다. 방호선반”이라 함은 작업중 재료나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판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비계 내측 및 외측 그리고 낙하물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 설치하는 가설물을 말한다.
Over bridge는 concrete 타설 장비 동선확보, 야적장, 가설 사무실 등을 위하여 본 건물 slab 완성 전까지 철골+복공판으로 1층 높이에 설치한 가설물이다. 가설비가 상당히 증대되는 경향이 있으나 본 공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채택된다. Over bridge는 공사부지에 여유가 없는 경우 소정의 절차를 거쳐 인도위에 육교식으로 사무실 등을 설치하는 것이다.
흙의 연경도는 점착성 있는 흙이 함수량의 변화에 따라 액성 ․ 소성 ․ 반고체 ․ 고체로 변화하며 흙의 강도와 부피(체적)가 변화하는 정도이다. 건조한 흙에 물을 첨가하면 흙의 상태가 변하고 외력에 대한 유동 및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흙의 거동을 개략적으로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흙의 예민비는 일정한 강도를 지닌 자연시료를 함수율의 변화 없이, 흙의 이김(교란)에 의해서 흙의 강도가 약해지거나 강해지는 정도의 비(比)를 나타낸 값이다. 이것은 흙의 구조배열(structural arrangement)이 바뀌어져서 접촉점에서의 부착력(bond)이 파괴되기 때문인데 이와 같은 전단강도(1축압축강도)의 감소비를 예민비라한다.
N치(값)은 Boring작업으로 소정의 깊이까지 시추공을 굴착하고 굴착기를 빼어낸 후 표준관입시험용 분리형 원통Sampler(Split Spoon sampler)를 시추공 바닥까지 밀어 넣은 후 Sampler에 연결된 굴착Rod의 상단을 5㎏의 Hammer로 76㎝ 높이에서 낙하시켜 15cm관입시키고, 마지막 30㎝ 관입되는데 소요되는 타격횟수 이다. SPT를 통해 구해진 N치(값)는 토질의 지지력을 파악하며, 30cm관입하는데 타격 Number가 많을수록 단단한 지반이다.
PBT는 구조물의 기초가 면하는 지반에 재하판을 통해서 하중을 가하여 지반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원위치 시험이다. 적용범위: 재하판 지름의 2배에 해당하는 깊이까지만 자료제공
정재하시험은 대상 지반에 설치된 pile에 실제 하중을 재하하여 pile의 거동 및 지지력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신뢰성이 높은 시험이다. 압축 재하 시험, 인발 시험, 수평 재하 시험 등이 있고 시험 목적에 따라 시험 횟수, 시험 방법, 말뚝 시공법, 재하 방법, 측정 방법 등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 후 기준에 알맞게 실시하도록 한다.
시항타는 본 공사의 항타 전에 구조도, 토질주상도 등을 토대로 pile의 길이, 허용지지력 등을 확인하는 시험으로 에너지보존법칙을 이용한 항타공식에 의해 말뚝의 지지력을 예측한다. 재하시험 또는 말뚝박기 시험을 하는 말뚝을 말하며 시공성이나 시공시의 소음, 진동영향 및 말뚝박기 종료 조건 등을 파악하고 시공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해 실시한다.(by 도로교표준시방서) 시험말뚝은 설계말뚝과 동일한 단면 및 중량을 가지며 실제 시공조건과 동일하게 시공해야 한다.
Rebound check는 타입말뚝 공사에서 동역학적 방법으로 말뚝의 지지력을 구할 때, 항타궤적(Pile driving trace)을 통하여 말뚝과 지반의 탄성변형량(elastic deformation)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최종단계(말뚝이 지지층에 도달했다고 판단)에서 10회 타입 시 총 관입침하량을 평균값으로 한다. 연약지반에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말뚝기초 시공시 허용지내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Rebound check는 연약지반에서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말뚝기초 시공시 허용지내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Rebound check를 이용하여 말뚝의 종류길이·치수, 이음 방법, 항타장비 선정, hammer 용량, 1회 항타시 허용 관입량 등을 결정한다.
O-Cell 시험은 말뚝에 대한 정적 재하시험법의 일종으로, 미국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의 오스터버그(Jorj Osterberg)교수에 의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정재하시험과 O-Cell 시험의 가장 큰 차이점은 재하장치의 위치에 있다. 정재하시험의 경우 재하장치를 말뚝 두부에 설치하나, O-Cell 시험에서는 재하장치를 말뚝의 선단(하단)에 설치한다. 사실 O-Cell 시험의 재하장치는 말뚝 내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동일 말뚝 내에서도 여러 위치에 O-Cell을 설치, 시험하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
건전도시험은 현장타설 말뚝의 지지력 저하 및 침하의 잠재요인이 되는 말뚝 몸체의 구조적 결함 및 말뚝 주변지반과의 지지접촉상태를 파악하는 시험이다.
토질주상도는 Boring과 SPT를 통하여 토층 단면상태와 시료의 상태, N값, 지하수위 등의 분포를 입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축척으로 표시한 설계도서이다. 지반의 경연상태와 지하수위 등을 파악하여, 토층의 단면상태를 예측하고 흙파기흙막이 공법의 종류 및 기계·기구의 선정, 기초의 설계·형식 및 시공에 있어서 안전하고 경제적인 공사를 위한 설계도서이다
Thixotropy는 점성토지반에서 함수비의 변화 없이 자연상태의 점성토지반을 교란하면 흙입자의 배열구조가 파괴되어 강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이후 일정 시간 방치하면 배열구조가 원상으로 복귀하면서 서서히 강도를 회복하는 현상이다.
유동역학 분야에서 나온 개념으로 물체가 외력에 의하여 연화(軟化)와 경화(硬化)를 반복하는 성질이다.
탄성침하(Se: elastic settlement, immediate settlement, 彈性沈下, 즉시침하) 재하와 동시에 일어나며 즉시 침하한다. 하중을 제거하면 원상태로 환원한다. 모래지반에서는 압밀침하가 없으므로 탄성침하를 전침하량으로 한다. 압밀침하(Sc: primary consolidation settlement, 壓密沈下, 1차 압밀침하) 점성토 지반에서 탄성침하 후에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나는 침하로 1차 압밀침하라고도 함 흙이 자중 또는 외력을 받아 간극수가 빠져나가면서 그 부피가 줄어들며 침하되는 것으로 하중을 제거하면 침하상태로 남음 2차 압밀침하(Scr: creep consolidation settlement, secondary compression settlement) 점성토의 creep에 의해 일어나는 침하로 creep 침하라고도 함 압밀침하 완료 후 계속되는 침하현상으로 구조물 crack 발생원인
Swelling은 점성토지반에 물이 흡수되었을 때, 모세관 작용에 의해 체적이 팽창하며 분산되는 현상이다.
Swelling은 점성토 흙입자의 흡착이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bentonite(광물명; montmorillonite, 몬모릴나이트)로서, 원체적의 약 10배 정도 팽창한다.
① sand bulking은 모래에 물이 점점 흡수되어 흙의 공극과 공극 사이에 물이 채워지다가 결국 다량의 물을 함유하게 되면 표면장력에 의해 모래입자가 상호 분산 되면서 부피가 벌집모양으로 팽창하는 현상이다. ② 모래입자 사이의 수막에 작용하는 표면장력에 의한 현상으로써, 함수율이 6~12% 정도에서 부피가 최대가 되며 모래의 입자가 크면 클수록 비표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sand bulking은 감소한다.
액상화(Liquefaction) 모래지반에 순간적인 충격과 지진. 진동 등에 의해 간극수압의 상승으로 유효응력이 감소/ 전단저항을 상실/지반이 액체와 같이 되는 현상
일수현상은 투수성이 큰 지반에서 Slurry Wall 트렌치 굴착시 안정액이 지반내 공극을 통해 유실되는 현상이다. 일수현상이 발생하면 슬러리 액면이 급격히 저하되어 액압감소로 인하여 공벽이 붕괴될 수 있으므로 투수계수가 큰 조립 사질토층이나 자갈층을 굴착하는 경우 충분한 양의 안정액을 공급하여 안정액의 Level을 유지시켜야 한다.
용탈溶脫(Leacjing)현상은 토양 중에 침투한 물에 용해된 가용성 성분(약액의 용질)이 지하수에 의해 농도가 옅은 용매로 이동하거나 표층에서 하층으로 유출되는 현상이다.(해수에 퇴적된 점토가 담수에 의해 오랜 시간에 걸쳐 염분이 빠져나가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을 말한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주입추기에 비해 압축강도가 저하되고 투수계수가 증가하게 되어 지반의 강도가 저하되는 현상이다. (Quick Clay는 용탈작용을 받은 전형적인 점성토이다.)
안정액은 굴착공벽의 붕괴를 방지할 목적으로 흙입자의 공극에 침투하여 굴착표면에 불투수막을 형성하여 공벽을 보호하는 비중이 큰 액체이다. 지반의 상태 ․ 굴착기계 등에 적합한 안정액을 사용하여야 하며, 적정비중 유지와 회수배관을 통해 적절한 순환과 배출 및 교체(desanding)가 이루어지도록 관리한다.
Pack drain 공법은 연약한 점성토지반에 pack을 압입한 후 모래를 채워 지반내의 물(간극수)을 지표면으로 배제(탈수)시켜 지반의 압밀을 촉진강화시키는 공법이다. sand drain 공법의 sand pile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sand drain과 pack의 장점만을 절충보완하여 발전시킨 공법이다. Pack에 모래를 채워 drain의 연속성 확보 및 시공깊이의 확인이 가능하고 배수효과도 양호하다.
CGS 공법은 slump 값이 5㎝ 이하의 저유동성 mortar 주입재를 지반내에 주입압입·충전하여 원기둥꼴의 고결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주변지반을 압축강화 시키는 공법이다. 느슨한 흙을 사방으로 밀어내며, 주위지반의 밀도 증가와 동시에 원기둥꼴의 concrete pile을 형성하여 지지말뚝으로서의 지지력과 주위지반의 지내력을 확보를 동시에 만족하는 공법이다.
SGR 공법은 물유리계를 주입재로 사용하는 이중관 복합 주입공법으로 특수선단을 이용하여 대상지반에 형성시킨 유도공간을 통해 급결성과 완결성의 주입재를 중저압으로 복합주입하는 공법이다. 지반에 천공한 후 특수선단장치(rocket)로 만든 넓은 공간의 벽면을 통해 물유리계 주입재를 2쇼트방식으로 주입하는 방법이다.
SIG(Super injection Grout) 공법은 3중관으로 천공 후 공기와 초고압수를 지중에 분사하여 지반을 절삭하고 절삭토를 배출시켜 그 공간을 경화재로 충진시켜 원주상의 개량체를 조성하는 치환공법이다. 물과 공기를 이용하여 지반의 조직구성을 절삭파쇄·배토하여 파쇄된 지반 공동부에 고화제를 충전하여 고강도이며 지수성이 높은 고결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지반내에 head 이외에는 압력이 없으므로 약액주입공법 혹은 기존 강제교반공법의 문제점인 지반융기 현상, 인접 구조물 혹은 매설물을 떠올리거나 파손시키지 않는다.
RJP(ROD IN JET) 공법은 water jet의 초고압수와 air jet을 병용하여 지반의 조직구성을 절삭파쇄하고 2차로 초고압 경화재와 air jet를 분사하여 절삭 범위를 넓힌 후 지반 공동부에 주입재를 주입·압입·충전·교반·혼합하는 공법이다. triple rod를 이용하여 물과 공기를 초고압으로 분사(super high pressure jet)하여 흙을 1차 분쇄한 후 경화재(cement paste)와 공기를 초고압으로 분사하여 지중에 대구경 soil cement pile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JSP 공법은 air jet의 초고압(P=200㎏f/㎠~400㎏f/㎠) 분사방식을 이용하여 지반의 조직구성을 절삭파쇄함과 동시에 지반 공동부(0.5~1.5m)에 grouting 주입재를 주입·압입·충전·교반·혼합하는 고압분사 주입공법이다. double rod 선단에 부착된 jetting nozzle을 통해 주입재(cement paste)를 분사하며 nozzle이 1회 혹은 5회 회전하면 rod가 자동적으로 일정 높이로 상승하며, 이 동작을 연속 반복하여 지반내에 원기둥꼴의 고결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고압의 주입재를 수평방향으로 분사하여 주입재를 주입하는 방법으로 파쇄된 토사와 주입재의 혼합 경화에 의해 원주형의 고결재를 조성하는 공법
Rock anchor 공법은 암반까지 천공한 후, anchor로 암반과 구조물을 정착하여 구조물을 지지하는 영구용 anchor이다. 지중에 설치한 인장재의 선단부인 암반에, Cement Paste 혹은 Cement Mortar로 Anchor체를 만들어, 그것이 인장재와 Anchor 두부를 통하여 구조물과 역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부력으로 인한 건물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체를 말한다
Rock Bolt는 절취된 암반 층리, 절리, 균열 등으로 불연속면이 있는 암괴의 범위억제를 위해 천공 후 락볼트를 삽입하여 암반에 봉합 도는 매달음작용에 의해 암반과 일체화 하는 공법
Removal anchor는 매입식 anchor로서 소정의 목적 달성 후 지반내에 anchor체의 잔존물을 남기지 않고 제거하는 anchor이다. 매입식의 압축 type anchor로서 압축형 type anchor체인 unbond P.C. stand를 내하체에 U자(字)형으로 가공하여 매입하고 압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켜 마찰력을 동일하게 하여 사용하는 anchor이다. U-turn방식: 정착부에 내하체를 이용하여 Unbonded P.C strand를 U자형으로 굽힘 가공하여 강선을 짝수로만 사용하며 제거시에는 U형 중 한쪽만 인발하여 제거하는 방식
① Pile의 부마찰력은 지지말뚝에서만 발생하는 하향의 마찰력으로서, 주면마찰력에 의해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마찰말뚝에서 지반이 연약한 경우 주면마찰력이 하향으로 작용하는 마찰력이다. ② 마찰말뚝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지지말뚝의 경우에만 발생하며, 부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말뚝수량 증가, 표면적이 적은 말뚝(H-형강 말뚝), 이중관 말뚝 등을 사용한다.
마찰말뚝 및 지지말뚝 ① 마찰말뚝은 지반이 연약하고 지지력이 좋은 경질의 지지지반이 기초 slab(기초판, 기초바닥)보다 훨씬 깊 은 곳에 위치하여 말뚝을 견고한 지반에 도달시킬 수 없는 경우 말뚝 전길이의 주면마찰력에 의해서 하중을 지지하는 말뚝이다. ② 지지말뚝은 말뚝을 연약한 지반을 관통하여 견고한 지반에 도달시켜 상부 구조의 하중을 말뚝의 선단 지지 력에 의해서 하중을 지지하는 말뚝이다.
Slip Layer Pile은 부마찰력이 발생되는 중립점 상부말뚝에 역청재(SL Compound)를 도포하여 Pile과 지반 사이에 미끄럼층(Slip Layer)을 형성하여 부마찰력을 저감시키는 Pile공법이다.
Micro pile은 천공장비(Crawler Drill)를 이용하여 소요의 깊이까지 천공하고 pipe 및 스레드 바(thread bar)등을 삽입한 후 저압(7~21BAR)으로 grouting하는 직경 30㎝ 이하의 소구경 pile이다. 마이크로파일은 1950년대 이탈리아에서 세계2차대전동안 역사적으로 중요한 건물의 피해를 underpinning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단확대말뚝 ① 선단확대말뚝은 현장 타설 concrete 말뚝과 기성 concrete 말뚝에서 견고한 지반과 접하는 말뚝 선단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말뚝 선단확대부를 footing으로 이용하는 말뚝이다 ② 선단 지지력에 의해서 하중을 지지하는 말뚝으로써 지지력 증대, 말뚝수량 절감, 흙파기량 절감, concrete 량 절감과 함께 침하량 감소 및 공기단축이 가능하다.
Earth drill 공법은 회전식 버켓형 드릴(bucket type drill)로 대구경의 hole을 뚫고 안정액으로 공벽을 보호하며, 선조립된 철근망을 삽입한 후 concrete를 부어 넣어 직경 1~2m 정도의 대구경 제자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미국의 calweld사가 개발한 공법으로서 소음진동·분진 등이 적고, 굴착 속도가 빠르며 점토질 지반에 적용된다.
Rock anchor 공법은 암반까지 천공한 후, anchor로 암반과 구조물을 정착하여 구조물을 지지하는 영구용 anchor이다. 지중에 설치한 인장재의 선단부인 암반에, Cement Paste 혹은 Cement Mortar로 Anchor체를 만들어, 그것이 인장재와 Anchor 두부를 통하여 구조물과 역학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조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공법이다.
T-4 공법은 SIP나 DRA 공법으로 시공 불가능한 호박돌 크기의 자갈층, 전석층 및 단단한 풍화암 등을 air hammer를 이용 천공하여 말뚝을 매입하는 공법이다. 슬라임 제거가 완벽하지 못하고 소음진동 발생이 크며 공사비와 공기가 과중되지만 전석 및 연암층 지지가 확실하고 암반선의 슬라이딩에 대한 저항력이 크다.
Barrette공법은 단면이 항생제의 캡슐(capsule)과 같은 길쭉한 타원형을 기본형태로서 一(일)자형, 二(이)자형, 十(십)자형, H형 등의 형태로 형성되는 pier 기초이다. 지중에 기본형인 직사각형과 一자형, 二자형, 十자형, H형 등으로 단면크기 조절을 통해 지지력이 증가하고, 수평저항력이 크며 600~1,200 ton/본 정도의 연직하중을 기초지반에 전달하는 말뚝 기초공법이다.
Toe Grouting은 RCD 굴착 후 공내 잔존하는 Slime의 침전으로 인하여 상부 하중에 의한 침하방지와 선단부 지지력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Cement Milk를 저압(0.5-0.7MPa)으로 주입하여 기초를 보강하는 작업이다.
Counter wall은 slurry wall 하단부 토층이 경암 등으로 인해 굴착이 불가능한 경우, Solder pile 설치, Rock Bolt, Wire mesh, Shotcrete를 이용한 Underpining 시공을 통해 예정된 깊이까지 순차적 굴착을 통해 지하연속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이다. slurry wall의 돌출부를 벽면 정리를 하고 slurry wall과 각 층 바닥 slab의 일체성 확보를 위해 미리 설치했던 dowel bar를 펴고 발포 폴리스티렌 폼을 확실시 제거한 후 slurry wall의 안쪽에 wall과 맞댄 상부 보와 하부 slab간의 벽체를 형성하여 본 구조물의 지하 외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Cap Beam은 토공전에 Slime이 섞여있는 Slurry Wall 최상단 부분의 콘크리트를 파쇄(200~500m)한 다음 신선한 콘크리트 부위에 철근을 배근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Wall Girder형식으로 Panel이 연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연결해주는 구조물 및 작업이다. 두부정리 한 부분에 청소 및 지수처리를 한다음 철근을 배근하고 신선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1층 바닥과의 Level을 고려하여 시공한다.
동결지수는 일평균 기온이 plus(+)에서 minus(-)로 변하는 달부터 시작하여, minus(-)에서 plus(+)로 변하는 달까지의 일평균 기온을 누계하여 플롯(plot) 했을 때의 시각(時刻)-기온(氣溫)곡선에서, 0℃ 이하에 있는 곡선 부분과 시각축으로 둘러싸인 면적 부분의 크기를 온도와 시간과의 곱으로 나타낸 수치이다.
기초를 동상현상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하여 동결지수를 이용하여 동결심도를 측정한다
트래피커빌리티는 차량통행을 지지하는 흙의 능력이며, 차량을 지지하는 흙의 지지력과 차량주행을 가능하게 하는 견인능력이다. 장비주행성은 표면층의 점착력과 전단저항에 비례하므로 간편한 방법으로 판단하기 위해 콘(cone)관입시험을 통하여 지지력을 콘 지수로서 판단한다. 건설차량의 야지(Off-the-Road) 통과성능과 작업능력을 크게 지배하기 때문에 지반관점에서 차량의 통과 능력을 주행성(Trafficability)이라고 한다.
열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내의 열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따뜻한 실내에서 차가운 실외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냉교는 벽, 바닥 slab, 지붕 등의 구조체에 단열재 시공이 연속되지 못하고 끊기는 열적취약부위가 있는 경우 실외의 냉기가 직접 구조체를 통해 차가운 실외에서 따뜻한 실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안전인증제( 성능검정에서 변경) 안전인증제는 성능검정제도가 안전인증제도로 변경됨에 따라 산업안전보건법 제34조(안전인증) 및 제35조(자율안전확인의 신고)에서 정한 가설기자재가 제조자의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와 제품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심사하여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 경우 안전인증마크(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인증 대상 가설기자재란 가설기자재중 가설구조물을 구성하고 있는 부품, 재료 중에 붕괴, 도괴와 같은 중대재해의 원인이 되어 건설현장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의 추락, 낙하 등의 인명손실을 초래할 수 있는 가설기자재에 대하여 고용노동부장관이 별도로 안전인증을 실시하는 품목을 말한다.
Stack effect는 건축물 내외부의 온도차 및 빌딩고(building height)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차이로 실내공기가 수직 유동경로를 따라 최하층에서 최상층으로 향하는 강한 기류의 형성이다. 초고층 건축물의 저층부에서의 화재 발생시 Core 부분 즉, elevator shaft 및 계단, 복도 등을 통해 연기가 상층부로 확산하여 건축물 내에 퍼지는데 이 때 연기의 이동도 연돌현상에 기인하는 것이다. 초고층 건축물에서의 연돌현상은 필연적인 형상이지만 건축물 내로 침입하는 외기의 분포와 내부의 차단, 출입구 밀폐, 급배기시스템 등을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기흐름의 상대저항을 증가시켜 연돌현상을 줄일 수 있다. 겨울철에는 1~2층 높이의 저층 건축물에서 발생한다. 연돌 효과는 건물 내외부 공기기둥의 무게(밀도, the weight of a column of air)차이로 인해 elevator 샤프트(shaft)나 설비 shaft 등 공기가 적층 될 수 있는 수직공간을 따라 건물내부로 들어온 공기가 상승하강(역연돌)하는 효과이다. 수직 공간 내에서 공기가 움직이는 방향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내부온도가 외부온도보다 높으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흐르고 그와 반대가 되면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흐른다. 건축물 바깥 공기가 실내의 공기보다 높을 때는 건물 내에서 공기가 위에서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향 공기흐름을 '역굴뚝효과'라고 한다
빈배합(Poor Mix, Lean Mix) 부배합(Rich Mix) 1.빈배합이란 콘크리트의 배합 시 단위 시멘트량이 비교적 적은 150~200kg/㎥ 정도의 배합을 말하며, 부배합이란 단위 시멘트량이 300kg/㎥ 이상의 배합을 말한다. 2.콘크리트 배합 시 부배합일수록 경화하는 과정에서 수화열의 발생이 많게 되어 균열이 가기 쉽고, 또한 빈배합일수록 점성(viscosity)이 떨어지므로, 적당량의 배합이 중요하다.
① 수축.온도철근(Temperature Bar)은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온도 변화, 기타의 원인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일어나는 인장응력에 대비해서 가외로 더 넣는 보조적인 철근을 말한다.
AE제(air entraining admixture)는 일명 공기연행제(air entraining admixture)라고도 불리며, 계면활성제(界面活性劑)의 일종으로서 콘크리트 속에 독립된 무수히 많은 미세한 공기포를 연행시켜 워커빌리티와 동결융행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혼화제이다. 건설재료에 혼화제를 첨가하여 시공성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고대 로마시대에도 석회반죽에 유지류(油脂類)를 혼합하여 작업성을 개선시켰다는 기록이 있어, 혼화제의 효과가 오래 전부터 입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AE제는 매우 우연한 기회에 발견되었다. 1934년 미국 북부의 콘크리트 포장에 대한 동해(凍害) 조사과정에서 콘크리트의 강도와 단위중량이 매우 작은 것이 발견되었으며, 이 콘크리트의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어 이것이 곧 AE제 개발의 계기가 되었다. 이 때까지의 기술적인 면에서 보면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드는 것이 시공의 가장 중요한 대전제 조건이었으므로 미소한 기포라 해도 기포가 연행시키는 것은 정설을 뒤엎는 혁명적인 사건이었다. 내구성이 우수한 콘크리트에 사용된 시멘트에는 수지를 클링커(clinker) 분쇄조재(粉碎助劑)로 사용하였으며 이것이 공기연행(air entrainment)작용을 하였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초기에는 공기를 연행하는 시멘트의 개발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수지를 첨가시켜 분쇄해 만든 AE시멘트는, 사용재료와 혼합조건의 다소간의 차이에 의해서는 공기량이 변동하기 쉬운 점 등의 문제점이 있어 그 후 콘크리트 혼합시에 혼합수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AE제로 발전하게 되었다.
1) 독립된 공기기포를 균일하게 분포시킴으로써 콘크리트의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키키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2) AE제의 의하여 생성된 0.025~0.25mm 정도의 지름을 가진 기포를 entrained air라 하고 4~6%정도로 증가하면 시공연도에 도움이 된
1) 설계기준강도란 콘크리트 부재설계시 계산의 기준이 되는 콘크리트강도로서 일반적으로 재령 28일의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한다. 2) 배합강도란 설계기준강도에 적당한 계수를 곱하여 할증한 압축강도를 말하며 배합설계시 소요강도로부터 물시멘트비를 정할 때 쓰인다. 3) 호칭강도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한 설계기준강도와 구별하기 위하여 마련한 용어로 레미콘 상품으로서의 강도 구분을 나타내는 겉보기 강도이다.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호칭강도는 KS F 4009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강도구분을 나타내는 호칭으로서 호칭강도는 설계기준강도를 의미한다.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한 설계기중강도와 구별하기 위하여 레미콘의 상품으로서의 강도구분로서, 품질조건에 따라 보증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호칭강도의 값은 설계기준강도를 의미한다.
시멘트의 여러 가지 성능 비중 일반적인 시멘트의 비중은 2,900~3,200kg/㎥인데 소성이 불충분하거나 풍화되면 그 값은 작아진다. 분말도 시멘트 입자의 가늘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분말도가 높을수록 표면적이 커져 수화작용이 빨라지지만 쉽게 풍화되기도 한다. 응결 시멘트가 수화작용에 의하여 고결되는 현상을 말하며 분말도, 수량, 온도, 습도 등에 의하여 달라진다. 풍회되어 있으면 늦어진다. 안정도 시멘트 경화중 용적의 팽창 정도를 표시하며 팽창이 적은 것을 안정되어 있다고 한다. 강도 시멘트의 성질 중에서 콘크리트의 강도에 연결되는 가장 중요한 것이다.
① concrete head는 concrete 부어 넣기 윗면에서부터 최대측압 (最大側壓, maximum lateral pressure)이 발생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② concrete 부어 넣기 속도, 부어 넣기 높이 등에 따라 concrete head의 높이는 달라지며 측압(lateral pressure )도 변화한다.
Fly ash cement는 portland cement의 clinker에 화력 발전소에서 유연탄을 연소할 때 발생된 회분(재, ash, 탄분)를 집진기로 포집한 fly ash를 적당량 첨가한 cement이다. 초기강도발현은 늦으나 초기강도발현은 늦으나 후기(장기)강도가 높고, 수화열이 낮아 온도균열 제어가 뛰어나고, 해수에 대한 화학적 저항성이 좋다. fly ash cement는 그 양에 따라 A종(5~10%), B종(10~20%), C종(20~30%)으로 분류된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용광로(고로)에서 선철과 동시에 생성되는 용융슬래그를 물로 급냉시켜 얻은 입상의 수쇄슬래그를 건조하여 미분쇄한 것으로서 사용 목적에 따라서 석고를 첨가하는 경우도 있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잠재수경성이 있으며 그 자체는 경화하는 성질이 미약하지만 알칼리에 의해서 경화한다. 포틀랜드시멘트와 혼합한 경우 수산화칼슘과 황산염의 작용에 의해서 경화가 촉진되어 포틀랜드시멘트만을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에는 얻을 수 없는 아래와 같은 우수한 콘크리트 특성이 얻어진다.
철근의 부착강도 철근의 부착강도는 철근표면과 이를 감싸고 있는 concrete 경계면에서 철근의 movement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성능이다. 철근의 부착강도란 콘크리트와 철근이 일체화되어 탈락하지 않고 견딜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고강도 철근 고강도 철근은 탄소강에 소량의 규소(Si), Mn(망간), Ni(니켈) 등을 첨가한 고강도의 철근이다.일반적으로 항복점 300MPa 강도는 강하고, 연성은 약하여 주요구조부인 기둥, 보 등에 사용되고 비교적 연성인 바닥 slab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1.고강도 Con'c란 설계기준강도가 40MPa 이상인 Con'c를 말하며, 배합시 공기연행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습윤양생을 실시해야 한다. 2.고성능 감수제 등을 사용하여 된비빔의 Con'c를 타설할수 있게 하였고, Silica fume등의 미세분말을 사용하여 강도, 내구성을 높인 Con'c이다.
섬유보강Con'c(FRC) 1.Con'c의 인장강도와 균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인성을 개선시킬 목적으로 Con'c 중에 각종 섬유를 보강시켜 만든 Con'c를 말한다. 2.섬유재료를 Con'c 중에 혼입합으로써 Con'c의 변형성, 강도 등을 개선하고, 여러 형태의 Con'c 제품의 생산이 용이하게 되었다. 강섬유보강Con'c(SFRC) 1.강선절단, 박판절단 등의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강섬유(길이 25~60mm, 지름 3~9mm정도)를 용적비의 1~2% 혼합한 Con'c이다. 2.인장강도, 휨강도, 전단강도, 내밀성, 내구성 등이 크게 향상된다. 유리섬유보강Conc(GRC) 1.고온의 용융유리에서 만든 무기섬유(길이 25~40mm정도)를 cement paste나 Con;c중에 혼입하여 만든 Con'c이다. 2.인장강도, 초기재령의 충격강도, 내화성 등이 향상된다.
에코 시멘트는 폐기물로 배출되는 도시쓰레기 소각회나 각종 오니(汚泥)에 시멘트 원료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을 주원료로 하여 시멘트로서 재활용하기 위하여 탄생한 새로운 자원순환형 시멘트이다. 도시쓰레기 소각회나 오니는 다이옥신류, 중금속류 등 환경상 유해성분이나 염소분을 포함하고 있어서 적절한 처리가 곤란한 폐기물로서 대부분 최종 매립처분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에코시멘트 제조기술의 개발은 이들 유해물질읠 무해화와 종금속류의회수도 가능케 하여 궁극적으로 안전처리와 함께 시멘트로서 재생하는 재활용 제품인 것이다.
포러스콘크리트란 내부에 다량의 연속공극을 확보하여 투수성, 투기성, 흡음성, 단열성 등 일반 콘크리트와는 매우 다른 기능성을 확보하여 식물녹화공법, 수질정화공법, 투수포장공법, 흡음공법 등 여러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보통 콘크리트는 대소립의 골재가 시멘트 페이스트 중에 분산되어 있는 상태이며, 공극이 매우 작고 수밀한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포러스 콘크리트는 보통 콘크리트와는 달리 연속된 공극을 많이 포함시켜 물과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연속공극을 균일하게 형성시킨 다공질의 콘크리트이다.
팽창 콘크리트는 팽창재, 시멘트 및 물과 함께 혼합하여, 수화반응에 따라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또는 수산화칼슘 등을 생성하여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팽창시시켜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을 저감을 통한 균열저감을 위한 콘크리트이다. 콘크리트의 팽창에 의해 철근에 인장력을 도입시키며, 그 응력으로 콘크리트에 케미컬 프리스트레스(압축응력)를 도입함으로써 콘크리트 인장응력 및 휨 응력을 더 많이 받을 수 있다.
자기응력 콘크리트(Self-Stressed Concrete)는 스스로 신장(伸張)되는 거대한 화학에너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에너지를 이용하여 경화시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물성을 악화시키거나 파괴하지 않고 강력하게 팽창시켜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즉 철근(보강재)을 팽팽하게 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일시적이거나 지속적으로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사이의 결합을 파괴하지 않고 압착할 수 있으면서 신장되는 콘크리트를 자기응력 콘크리트라고 한다.
수밀 콘크리트라 함은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에 있어서 수밀성을 높게 요구하는 부위에 사용하는 콘크리트를 말한다. 특히 수밀콘크리트는 투수투습에 의해 구조물의 안전성, 내구성, 기능성, 외관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 지하구조물(건축 및 토목구조물), 수리구조물, 저수조, 수영장, 상하수도시설, 터널, 공동구 및 각종 저장시설 등 구조체 내·외측에서 압력수가 작용하는 구조물에 주로 사용한다.
슬럼프테스트 1.미경화 Con'c의 반죽질기(consistency)를 측정하여, 시공연도(workability)를 판단하고자 실시하는 시험이며 30cm콘에서 흘러내린 높이를 측정하여 배합설계 기준에 적합한지 현장에서 실시하는 시험방법이다. 플로테스트 2.ASTM C 124에 규정된 시험법으로 지름 75cm의 플로우 테이블 위에 지름 17cm 밑지름25.4cm,12.7츠cm의 콘에 콘크리트를 채우고 플로우 테이블을 15초동안 15회 낙하시켜 콘크리트의 퍼진 지름을 측정한다.
철근Prefab공법 철근 Pre-fab 공법은 철근 concrete 공사에 사용되는 철근을 기초기둥·벽체·보·바닥 slab 등의 각 부위별로 unit화된 부재로 공장 및 현장에서 미리 조립해 두고 현장에서는 기계화 시공을 통해 조립·접합·배근하는 철근의 pre-fab화(化)가 필요하다. 현장에서 철근 절단가공·이음·조립 등의 공장작업 최소화로 인해 전체적인 공정단순화,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저감이 가능한 공법이다.
Dowel bar는 하중을 전달하는 기구로서 구조물의 일체성 및 구조 안정상 joint로 인한 부재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철근을 상호 이음 할 수 있는 모양이다.
Tie bar는 dowel bar와 다르게 하중을 전달하는 기구가 아니라 구조 안전상 joint로 인한 부재의 분리를 막기 위한 철근을 상호 잡아매는 이형 혹은 갈고리 모양이다.
① water stop은 concrete 이어 붓기 부분에 투수 방지를 위해 concrete 속에 묻어서 누수효과 또는 지수효과를 얻는 매입판이다. ② concrete의 수축과 팽창 등에 대한 신축 대응을 위해 내구성과 변형가능성이 있어야 하며 concrete와 부착력이 좋은 형상이어야 한다. ① Bentonite Water Stop은 물과 습기에 접촉하면 체적의 약 16배에 달하는 고팽창성을 지닌 Sodium bentonite를 압축 성형하여 concrete의 cold joint·누수·침수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고 영구적인 지수성능 유지를 위한 재료이다. ② 기존 지수판 사용시, 지수판과 concrete 접합면의 미세한 간격으로 누수가 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시공성이 양호하다.
Self Climbing Form(PERI社 ACS, DOKA社 SKE) ACS FormA.C.S: Auto(-matic) Climbing System Form은 ore Wall 구조형태가 수직으로 유사하게 반복되는 RC구조물 공사에서 타워크레인의 지원없이 Hydraulic unit와 Climbing Profile 1개층씩 자체 상승하는 벽체전용 대형Climbing System Form 조립 및 해체작업을 최소화 하고 공사용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제작된 System거푸집과 자동인양설비를 결합한 거푸집
Tie-Less Formwork(무폼타이 거푸집) Brace frame은 벽체 양면에 거푸집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 한 면에만 거푸집 판을 설치하고 form tie없이 brace frame으로 concrete의 측압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Form tie 작업이 생략되고,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레이스 프레임(brace frame)을 사용함으로, brace frame 공법이라고도 한다.
Brace frame은 벽체 양면에 거푸집의 설치가 곤란한 경우, 한 면에만 거푸집 판을 설치하고 form tie없이 brace frame으로 concrete의 측압을 지지하는 공법이다. Form tie 작업이 생략되고,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레이스 프레임(brace frame)을 사용함으로, brace frame 공법이라고도 한다.
BOG(Beam On Grade) BOG는 Top Down 지하층 Slab 공사에서 각층 보하단 Level에서 200~250mm까지 터파기를 하고 토공 바닥의 정지면에 보와 Slab거푸집을 제작하여 지반이 지보공 역할을 하면서 구체공사를 진행하는 지면지지 보 거푸집 공법이다. 보춤이 다양할 경우 적용이 곤란하며, Slab 거푸집은 Hory Beam+합판 거푸집을 이용하는 RC조 Top Down Slab 거푸집방식이다.
SOG(Slab On Grade) SOG는 Top Down 지하층 Slab 공사에서 각층 Slab하단 Level까지 터파기를 하고 토공 바닥의 정지면에 코팅합판을 깐다음 지반이 지보공 역할을 하면서 구체공사를 진행하는 지면지지 Slab 거푸집 공법이다. 무량판 구조는 거푸집의 형상이 평탄하고 단조롭기 때문에 토공 바닥의 정지면에 구체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지반위에 구체공사를 하는 RC 무량판구조의 Top Down Slab 거푸집방식이다.
SOS(Slab On Support) SOS는 Top Down 지하층 Slab 공사에서 보 하부 Level보다 5~3m 아래로 토공 바닥면을 정지한 후 기둥 측량작업을 거쳐 지면에 Support를 지지하고 Slab 거푸집을 설치하는 RC조 Top Down Slab 거푸집방식이다. 적용성
탄성(Elasticity)과 소성(Plasticity) 1. 탄성이란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이 하중 제거후 잔류 변형률이 생기지 않는 성질 2. 소성이란 물체에 탄성한도를 초과하는 응력을 가하게 되면, 물체가 변형되어 응력을 제거하여도 변형 이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성질 31.탄성계수 1. 탄성계수-응력을 변형을 나눈 값을 말한다. 2. 후크의 법칙 탄성계수 =응력/변형률 3. 철근과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1) 철근의 탄성계수(Es)=2.0 *10^5(MPa) 2) 콘크리트의 탄성계수(Ec) 4700 *√fck (fck<30MPa) 3. 탄성과 소성 1) 탄성이란 어떤 물체에 하중을 가하면 변형이 생기나 하중제거후 잔류변형률이 생기지 않는 성질 2) 소성이란 반면 탄성한도를 초과하는 응력부담시 응력을 제거해도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는 성질 탄성계수 탄성이란 물체에 응력을 가하면 변형되고, 응력을 제거하면 변형도 없어져서 원형으로 되돌아가는 성질 을 말한다. 탄성계수란 응력과 변형 사이에 1차원 관계식으로 나타낼 때 두 관계를 맺는 정수계수를 말한다.
콘크리트의 공극은 시멘트가 물과 결합하여 수화반응에 의해 경화하는 과정에서 수분증발에 따른 자기탈수(self desiccation)가 발생되는데 이를 공극이라 한다. 경화체의 조직은 미수화 시멘트입자, 결정성 시멘트겔, 결정, 미세공극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미세공극은 1~1,000㎛크기의 모세관공극(capillary pore)과 약20Å크기의 겔 사이에 존재하는 겔공극(gel pore)으로 구분된다.
강열감량은 흙이나 cement 등의 시료에 900~1200℃ 정도(1000℃)의 강한 열을 60분 동안 가했을 때 중량이 감소된 손실량이다. 풍화는 저장된 cement가 대기중의 공기와 접하면 공기중의 수분과 수화작용을 하여 탄산염을 생성하며 굳어지는 현상으로 여름철에 많이 발생한다.
Bleeding은 굳지 않은 콘크리트, 굳지 않은 모르타르, 굳지 않은시멘트풀(Cement paste = 시멘트+물) 에서 고체 재료의 침강 또는 분리에 의해 혼합수의 일부가 유리되어 상승하는 현상이다
침하균열은 concrete 타설 후 bleeding에 의해 concrete 상면이 침하하기 때문에 철근 등의 상부를 따라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하는 균열이다. 물과 미세한 물질(석고, 불순물 등) 등은 상승하고, 중량이 무거운 cement 혹은 골재가 침하하는 현상 침하균열은 보와 넓은 면적을 갖는 slab의 상부 철근을 따라 concrete 타설 직후 1~3시간 내에 발생한다.
Concrete 이어붓기면의 요구되는 성능은 concrete 시공중 작업관계로 concrete를 한 번에 계속하여 부어 나아가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 할 수 밖에 없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이 되므로 이어붓기면에 대한 보강방안이 필요하다.
구조적 연속성, 방수성능 등을 확보해야 하며, 이어붓기 위치는 원칙적으로 전단력이 가장 적은, 구조적 영향이 없는 곳, 시공에 지장이 없는 곳으로 한다.
CPB는 concrete pump에서 배관을 통해 압송된 concrete를 튜블러 마스트(tubular mast)에 설치된 굴절 Boom의 수직수평·회전 작용을 이용하여 타설위치에 포설하는 장치이다. slab 처짐현상과 철근배근에 영향 없이 매우 적은 인원인력으로 빠르게 concrete 타설이 가능하나 자체 mast가 필요하며 boom의 굴절능력, 회전반경 및 도달거리 등을 사전에 검토한다.
Concrete distributor는 concrete pump에서 배관을 통해 압송된 concrete를 자체관(pipe)의 수직수평·회전 작용을 이용하여 타설위치에 포설하는 장비이다. 양중장비로 해당 slab 위에 안착한 후 일정구역을 연속해서 타설한 다음 양중장비를 이용하여 분배기를 이동 배치하여 타설하는 기구이다. 타설작업의 성력화와 corner 부위에서의 안전성과 회전반경에 의한 작업범위가 넓어 신속한 타설과 철근의 이탈방지 및 재료분리를 막을 수 있다.
VH분리 타설 H 분리 타설 공법은 일반적으로 Half P.C slab 공법과 병행하여 적용되며 기둥·벽체 등 수직부재를 먼저 타설하고, P.C 판을 맞물린 후 topping concrete를 타설하는 공법이다. 타설중 균열의 길이가 짧고 무방향성으로 생기는 침하균열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기둥벽체 등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인 slab를 분리 타설하는 공법이다.
Preflex beam은 고강도 강재의 보에 미리 활모양의 솟음을 주고, 하중(preflextion)을 가하여 인장응력을 생기게 한 후 하부 flange에 고강도 concrete를 부어 넣어 경화 후에 하중을 제거하면, 강재보의 복원력에 의하여 하부 flange에 prestress가 도입된 beam이다. 강재와 concrete의 구조적 장점만을 절충보완하여 발전시킨 합성보로써 하부 flange concrete는 beam의 전체 강성을 높여 균열발생 방지, 처짐극복 및 하중의 선(先)재하로 안전성 확인 후 설치된다.
Camber는 굳지 않은 concrete를 부어 넣기 전 보 혹은 slab 등의 수평부재가 concrete 하중에 의해 처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미리 활모양으로 솟음을 주는 것이다. PC조, RC조, S조, SRC조 등의 수평부재(보, slab)의 만곡(彎曲: 처짐예상)시 미리 소정의 치켜올림 등으로도 쓰인다.
False set은 cement paste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cement와 물이 수화 작용할 때 수화초기에 cement paste가 약간 굳어지는 현상으로 비비기를 계속하면 이 현상이 없어지고 정상적인 응결 및 경화과정이 된다. False set은 cement paste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cement와 물이 수화 작용할 때 응결지연제인 석고가 적당히(3~5%) 첨가되지 못하여 초기에 급속히 약간 굳어진 후 다시 순조롭게 응결되는데 처음에 급속히 약간 굳어지는 현상이다.
굳지않은 콘크리트 침하균열 발생시 표면의 일부분이 굳기 시작하여 물빛이 사라질 무렵 나무흙손이나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두들겨서 균열부위를 메우는 작업을 Taming라 한다.
수화반응은 concrete의 기본구성재료인 cement, 물, 굵은 골재, 잔골재 중 cement(CaO)와 물(H2O)이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는 동시에 굳어지며 수산화칼슘(Ca(OH)2, 가성소다)을 생성하는 반응형태이다. 수화과정은 cement paste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유동성과 점성을 상실하고 고화하여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정도로 굳어질 때까지의 현상인 응결(setting) 되는 과정이다.
Sliding joint는 보slab 등의 수평부재가 기둥·벽체 등의 수직부재에 단순지지 된 경우, 구속 응력을 해소시키기 위해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한 joint로, 사전에 계획된 joint이다.
sliding joint의 직각방향에서 하중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설치한다.
줄눈 재료로는 네오프렌(Neoprene) felt, asphalt compound, 고무류 등이 사용된다
Slip joint는 조적조와 concrete의 이질재료가 접하는 부위의 온도습도·환경 등으로 인해 각 부재의 움직임이 서로 다르게 되는데 이를 해소시키기 위해 상호구조부재가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한 joint로, 사전에 계획된 joint이다.
일반적으로 조적벽과 C. slab 사이에 접합을 사전에 방지하고, 상호구조부재가 자유롭게 미끄러지게 하기 위해 설치하는 joint이다.
Delay joint는 concrete가 건조수축에 대해서 내외부의 구속을 받지 않도록 일정한 폭을 두고, concrete를 타설하고 초기수축을 기다린 후 남겨둔 부분을 concrete로 채워 처리하는 joint이다. 건조수축량은 concrete 타설 초기에 집중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으로 수축대를 설치하여 건조수축 균열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Construction joint는 concrete 시공과정 중 작업관계로 굳은 concrete에 새로운 concrete를 이어붓기함으로써 일체화되지 못해 발생되는 joint이다. 시공이음은 접합상세와 구조물 특성에 따라 적합한 형식을 선택해야 하며 이음시 구조적 연속성, 강도확보, 수직도수평도 확보, 내구성 및 내식성 확보와 시공이 용이해야 한다.
Expansion joint는 구조물의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수축 혹은 부동침하, 진동 등에 의해 균열이 예상되는 위치에 설치하는 joint이다.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지 않는 구조이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줄눈재, 지수판 등을 배치한다.
Dummy joint는 구조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건조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벽면 중의 일정한 곳으로 유도하기 위해 단면결손부위로 균열을 유도하여 구조물의 단면 및 외관손상을 최소화하는 joint이다.
수축에 의한 구조체의 움직임을 흡수하고, 수축줄눈 위이에서만 균열발생이 일어나도록 균열을 제어하여 다른 곳의 균열발생을 억제하므로 control joint라고 도한다.
양생은 수화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것으로 concrete를 타설한 후 소요기간까지 경화에 필요한 온도, 습도 조건을 유지하며, 유해한 작용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적합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양생의 목적은 굳지 않은 concrete 중에서 물로 채워져 있던 공간을 cement와 물의 수화반응으로 인한 수화생성물(水化生成物)로 채워질 때까지 concrete를 포수상태(飽水狀態) 혹은 포수상태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타설이 끝난 후 응결 및 경화가 되지 않은 굳지 않은 concrete는 매우 취약한 상태로서 균열 발생이 쉽고, 일광의 직사, 풍우, 상설(霜雪, 눈서리) 등으로 급격한 건조 혹은 온도변화, 과하중, 진동, 충격 등으로 인한 설계도 및 시방서에 규정된 요구 성능 및 품질을 만족시키기 어렵우므로 cement 수화에 필요한 적당한 온습도 유지, 충분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습윤양생을 실시한다.
양생방법 선정시에는 기후조건, 기상조건, 구조 조건, 구조물 종류, 구조물 형태, 단면형상, 단면 치수, 표면 평활도, 마감정도, 거푸집 전용계획, 목표 기준층 공기 준수여부, 기계 및 기구의 종류 및 능력 시공방법, 공기, 공사비, 각 공정간 간섭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콘크리트의 적산온도는 concrete 양생온도와 양생시간의 곱(℃ⅹ Hr)의 적분함수로 나타내며 계획배합은 물-시멘트비, 양생온도 및 시간을 정하는 방식이다. 적산온도를 통해 concrete 강도 증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적산온도에 의해 강도를 추정하여 거푸집 해체시기를 인정할 수 있는 초기강도(5MPa)를 예측할 수 있고 한중 concrete에서는 초기강도확보 및 동결융해 관리시 concrete 양생온도와 양생기간을 판별식(判別式)에 의한 강도판단법이다.
온도구배는 Mass concrete 또는 한중 concrete의 타설직후 경화 중에 cement와 물의 반응으로 인한 수화열(heat of hydration)이 축적되어 concrete의 내부온도가 상승하여 concrete 부재표면과 내부와의 열전도를 통한 온도차이다. 온도구배에 의한 온도응력(temperature stress) 및 온도균열은 구조물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온도구배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배합전 재료를 Pre-cooling하는 방법과 양생시 부재표면과 내부와의 온도차를 줄이는 Pipe-cooling 방법 등이 있다.
가용시간: 접착제 등의 사용 가능한 시간을 말함. 특히 2가지 액성인 경우 혼합 후 가용시간 내에 접착을 해야 함(건축구조용어사전) Open time은 구조체 표면의 바탕면 혹은 tile면에 접착 mortar나 접착제를 얇고 균일하게 발라 tile붙이기에 적합한 상태가 확보 가능한 최대한계시간이다. Tile 붙임 mortar의 접착력 확보를 위한 한계시간으로 mortar를 바르고 tile 붙임이 완료될 때까지 소요되는 붙임시간이다.
접착력의 확인방법은 tile 부착강도 시험으로 하며, 타일의 박리 및 박리정도에 대해서 벽면 전체에 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타음법, 타격법, 반발법, 초음파법 등이 있다. 접착력의 확인방법(검사 및 시험)Tile 부착강도 시험방법은 타일의 박리 및 박리정도에 대해서 벽면 전체에 대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으며 타음법, 타격법, 반발법, 초음파법 등이 있다.
타일선부착공법은 공장에서 tile과 topping concrete로 일체화된 C 마감재를 현장에서 설치·부착·조립하는 P.C Curtain wall 공법의 일종이다. C 공법과 tile 붙임공법의 장점만을 절충·보완하여 발전시킨 공법으로 골조공사와 tile 공사의 동시 시공에 따른 공기단축,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복합방수공법은 금속판 방수와 도막방수 등 기존 방수공법 들을 상호 조합하여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물로부터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공법이다. 단일재료를 사용한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적 mechanism의 한계성 및 환경적 영향 등으로 기존 방수하자 요인에 대한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는 것을 고려하여 방수목적 및 적용용도에 적합하고, 엄격한 품질요구, 시공조건 등 다양화된 방수조건에 적합한 복합방수공법이 적용된다.
Sealing 방수는 각종 부재의 접합부나 줄눈과 같은 틈새의 수밀기밀·joint 거동에 대한 신축 대응을 위해 접합부 틈새에 sealing을 충전하는 공법이다. 접착성과 탄성을 가진 seal을 충전하여 일체화한 방수로 접착부재의 신축진동에 장기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접착성·비오염성을 갖는 것을 선정한다.
도막방수는 합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상태의 방수도료를 바탕면에 여러 번 덧발라 상당한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일정한 두께의 방수도료를 균일하게 칠하기 어려우며, 방수도료가 굳을 때 자체 수축에 의한 균열은 적으나 재질이 연약하여 넓은 장소에서는 시공이 어렵다. 주제와 경화제를 현장 배합하는 2액형 type의 도막방수제는 혼합에 따라 재료의 물성이 크게 달라지므로 반드시 혼합비를 준수하도록 한다.
침투성 방수는 mortar, concrete, 조적조, 석재 등의 공극에 방수제를 침투시켜 발수막 형성충전·결정 생성 등의 효과를 통하여 구조체 바탕면 자체를 수밀하게 하여 구조체 내·외부의 수분과 습기의 이동을 제어하는 방수공법이다. 구조체 표면의 바탕면에 얇은 두께의 방수층을 형성하고 탄력성이 없어 도막방수와 구별되며 공정이 짧고 대규모 장비와 장치가 필요 없어 노동력이 절감되며 concrete 표면 열화에 대한 보호 및 보수재료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슬러리월조인트방수: 콘크리트가 분할타설되고 연결철근도 없기때문에 추후 균열에 의한 누수가 발생한다고 가정하여 최하층가지 지하수의 연속적인 유도를 위해 각층슬래브 시공전에 조인트 방수를 실시( 슬러리월 조인트를 V자로 치핑한다음 폴리머 시멘트방수2회실시, PVC파이프 설치후 방수모르타르로 표면마감)
Free Access Floor ① 고급 building, office building, intelligent building, E.D.P.S.실, 등의 바닥에 배선, 배관, duct 등의 설 치와 점검이 용이하도록 , 구조체 바닥 slab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 떠 있게 한 이중바닥 system이다. ② 일반적으로 정방형의 floor panel을 페디스털(pedestal)이라는 받침대로 지지하며 쾌적한 환경 조성과 배선, 배관 등의 보호 및 유지관리가 주목적이다.
이중외피 시스템(Double skin) Double skin은 두 개의 외피 즉, 유리로 구성된 이중 벽체 구조를 갖는 system이다. 실내외의 두 개의 외피, 각 외피 사이의 공극(cavity), 공극부분의 환기를 위하여 설치된 개구부분 및 차양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외피로 구성된 공극(cavity)은 실외와 실내공간 사이에 열적인 완충지대를 조성하여 에너지 절약적인 측면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또한 이를 통한 자연환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공극의 용적과 개구부분 면적의 변화에 의하여 에너지 절약 및 자연환기의 효과는 영향을 받게 된다. 이중의 외피 구조는 실내와 실외 사이에 공간(cavity)을 형성하게 되고, 이 공간을 통해 효율적인 열성능과 환기성능을 유지하여 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고 난방에너지 및 냉방에너지 절감이 된다. 이중외주는 기존의 단열외벽에 공간을 두고 유리외벽을 덧붙여 건물의 외피를 이중으로 조성하여 그 공간 사이로 공기가 순환하도록 한 것이다. 단열 및 냉방효력이 우수해 냉난방비 절감, 결로현상 방지, 방음 및 차음 등의 효과가 있다.
Self leveling은 바닥 바탕 mortar의 대용 공법으로서 석고계 등의 유동재료를 바닥 slab에 흘려 넣으면 표면이 평탄해지면서 수평면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Space frame은 cone, sleeve, bolt, lock pin 등으로 구성된 부재(member)를 입체적으로 조립하여 입체 rahmen, 입체 truss(space truss)로써, 평판형, 곡판형, 장span, 대공간 구조를 만들 수 있다. 하중의 전달 메카니즘이 3차원적이다 선형의 부재들을 결합한 것으로, 힘의 흐름을 3차원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구조시스템이다. 구성부재가 2차원적인 경우도 있으나, 거시적으로 볼 경우 스페이스 프레임은 평판 또는 곡면의 형태를 이룬다.
1.이중버블시트는 한중 콘크리트 타설시 동해를 방지하고, 매스콘크리트양생시 수화열의 전도,대류를 방지하기위해 공기층과 비닐막으로 구성된 단열양생시트이다. 2.구조는 비닐보양면 사이에 두개의 공기층이 있어, 단열 및 온도 차폐성능이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다.
Haunch는 보의 전단력과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양쪽 끝부분을 10~20㎝ 정도 증가한 것으로 수평헌치, 수직헌치가 있으며 수평헌치는 층고에 문제가 있을 때 사용한다.
1. 구조용 level spacer는 slab의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기준 높이를 표시해주는 level 확인용 전용 자재이다. 2. 설치간격은 약9㎡당 1개를 설치하며 level기로 타설높이를 확인하여 볼트식 으로 되어있는 마감점을 조정하여 타설시 기준이 된다.
① I.T.P.는 철강구조물 인증제작 공장에서 부재 가공 및 제작시 설계도서의 요구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한다. ② 자재발주부터 현장 반입까지의 lead time이 길므로 현장의 작업 공기에 맞추어 생산하도록 해야 하며 운반 및 양중이 가능한 범위내에서 완성품에 가깝고, 현장 세우기 순서에 따라 부재를 가공·제작·반입해야 한다.
Mill sheet란 철강 제품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 재료성분 및 제원을 기록하여, maker가 규격품에 대하여 발행하는 증명서이다. 철골재의 물리적역학적 성질을 나타내는 공인된 시험성적표로서, 부재를 주문한 현장에 강재가 반입되면 강재의 주재별 등급, 자재 등급별 표식 등이 주문 내용과 일치하는지 검토 및 확인한다.
1.기초 anchor bolt 매립공법은 철골공사에서 기둥이 받는 하중을 기초판에 전달하는 base plate를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기초 anchor bolt를 매립하는 공법이다. 2.기초 anchor bolt는 고정매입공법, 가동매입공법, 나중매입공법으로 나뉘어진다.
1.Padding은 철골 주각 시공시 하중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base plate와 기초 바닥 사이에 모르타르를 채워넣는 작업이다. 2.Padding은 고름 모르타르공법, 부분 그라우팅공법, 전면 그라우팅공법으로 나뉘며 각 공법별 모르타르 두께 규정값을 준수하여야 한다.
1.Plumbing은 철골공사에서 철골 기둥 및 보에 대하여 수직도, 평활도를 검사하는 것이다. 2.Spanning은 철골 설치 후 전체 기둥 간 거리 및 수직도에 대하여 도면과 오차범위를 검사하는 것이다.
1.피로파괴는 부재가 충분한 강도를 지니고 있더라도 반복된 하중으로 인해 미세한 하중에도 파괴가 되는 현상이다. 2.피로강도는 일정한 하중이 반복 작용하더라도 피로 파괴가 발생하지 않는 응력이다.
1.취성파괴는 부재의 응력이 탄성한계 내에서 충격하중에 의하여 갑자기 파괴되는 현상이다. 2.주위 온도의 저하로 인한 부재의 인성이 감소되어 에너지 흡수능력이 저하됨에 따라 발생한다.
buckling은 기둥 등의 압축재에 압축력을 가하면 재료의 불균일성에 의한 집중하중으로 압축력이 허용하중에 도달하기 전에 휨모멘트(bending moment)에 의해 미리 휨이 발생하고 이후 휨이 급격히 증대하여 파괴되는 현상이다. ② 기둥 등의 압축재의 길이가 그 횡단면의 치수에 비해 클 때 발생하기 쉬우며, 좌굴 종류는 좌굴장(Half-Wave length, 좌굴길이; buckling length)의 크기에 따라 압축좌굴(壓縮坐屈, compressive buckling), 국부좌굴(局部坐屈, local buckling, crippling), 횡좌굴(橫坐屈, Lateral Buckling) 등이 있다.
① Stiffener는 철골구조에서 plate girder, box기둥의 flange 또는 web의 강성이나 강도를 유지하고 전단보강과 좌굴(坐屈, buckling)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판형(板形)의 보강부재(stiffening member)이다. ② 수평 Stiffener와 수직 Stiffener가 있으며 양면에 대칭으로 설치하며 2개 이상 사용시에는 동일단면의 보강부재를 사용한다.
Scallop은 철골부재 용접시 이음 및 접합부위의 용접선(seam)이 교차되어, 재용접된 부위가 열영향을 집중으로 받아 취약해지기 쉬우므로, 열영향의 제거를 위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모따기한 것이다. 단면결손부위이므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작은 반경으로 가공하며, 절삭시 절삭가공기 혹은 부속장치가 달린 수동 gas 가스절단기를 사용하고 표면거칠기 100㎛Ry 이하, notch깊이 1㎜이하로 하고 Scallop의 반지름은 30㎜를 표준으로 한다. (정밀도를 확보할 수 없는 것은 그라인더 등으로 수정~)
Metal touch는 철골 기둥 이음시 이음부를 절삭가공기를 사용하여 상하부 기둥을 수평으로 완전히 밀착시켜 외력에 의한 응력집중현상을 방지하고 축력, 전단력과 휨 moment 등이 충분히 전달되도록 하는 이음 방법이다. 기둥이음부를 수평으로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facing machine 혹은 Rotary planer 등으로 이음부를 정밀 가공하여 상하부 기둥을 수평으로 완전히 밀착시켜서 축력의 50%까지 하부 기둥 밀착면에 직접 전달시키는 이음방법이다.
① T.S. bolt 접합은 둥근머리 rivet형의 머리모양, 6각형의 pin tail과 break neck으로 구성된 bolt로서, bolt를 체결한 후 충분한 회전력을 갖는 impact wrench 또는 impact shearing wrench로 nut를 조이면 조임 torque가 정해진 값이 되었을 때 break neck이 파손되어 pin tail이 떨어져 나가며 접합된다. ② 나사산의 길이가 짧고 손상되면 도입 축력의 관리가 불가하고 1차 조임 후에는 반드시 금매김을 하여 bolt 축 회전 유·무를 판별하여 관리한다.
1.고력볼트 접합은 고탄소강 또는 합금강을 열처리 하여 만든 고력볼트를 조여서 접합하는 방식이다. 2.고력볼트 접합에서는 마찰면 관리와 볼트의 도입 축력관리가 중요하다.
1.Lamellar tearing은 용접시 열형향부에 국부 열변형으로 모재 내부에 구속응력이 생겨 미세한 균열이 발생되는 현상이다. 2.Lamellar tearing은 수직재인 기둥과 수평재인 보 및 가새의 용접시 주로 발생한다.
1.End tab은 용접결함이 생기기 쉬운 용접 bead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재 양단에 부착하는 보조강판이다. 2.End tap 시공시 재질은 모재와 동일해야 하며 용접방법별 End tap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1.Weaving은 철골용접에서 용접봉을 용접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용착금속을 녹여 붙이는 운봉법이다. 2.용착의 너비를 증가시키며 over lap을 방지할 수 있다.
1.Arc 용접은 전기 arc열로 용접봉과 모재를 동시에 녹이면서, 용접봉이 녹아 생성된 쇳물이 모재에 결합되게 하는 용접방식이다. 2.수동식으로 현장용접이나 용접길이가 짧은 접합에 사용하며, 용접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1.CO2 Arc 용접은 불황성가스 대신에 CO2가스를 사용하는 용극식 방식의 용접방법이다. 2.CO2 gas(탄산가스)는 arc 및 용융금속을 감싸서 공기를 차단하여, 산소.질소의 침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
① fillet welding은 부재의 끝을 깍아내지 않고 목두께의 방향이 모재의 면과 45°정도의 각을 이루는 용접으로 상호 부재는 충분히 밀착시켜야 한다. ② fillet welding은 각 부재의 끝부분을 가공하지 않고 부재와 부재의 교선(交線, 교차선)을 따라 등변(等邊) 또는 부등변의 삼각형 용접살을 덧붙여서 용접한다. ③ fillet welding은 공장용접에서 많이 쓰이는 용접으로 모재를 가공지 않고 용접이 가능한 공법이다.
Gouging은 Groove 용접에서 용접부 하단(root)에 기공(blow hole)·용입부족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불량 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용접부 하단(배면, 이면)에서 금속을 녹인 후 강한 공기로 불어내어 홈을 파는 작업이다. gouging: 금속판의 뒷면 깍기. 용접결함부의 제거 등을 위해 금속표면에 골을 파는 것. 아크에어가우징, 가스가우징 등이 많이 이용됨
① reaming은 미리 drill로 뚫어 놓은 구멍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reamer로 구멍을 정확한 치수로 넓히고 또한 내면을 깨끗하게 다듬질 하는 작업이다. ② 철골 부재를 3장 이상 겹칠 때에는 소요 구멍의 지름보다 1.5㎜ 정도 작게 뚫고 reamer로 조정하는 경우도 있다.
① Shear connector는 P.C 구조와 concrete 구조의 합성구조에서 두 구조부재 사이의 전단응력 전달 및 일체성 확보를 위하여 설치하는 연결재이다. ② 모재가 P.C인 경우 P.C 제작전 다양한 형태의 전단연결철근을 배치하고, S조인 경우에는 stud welding으로 stud bolt를 모재에 용착시키며, 석재(G.P.C)나 그 이외(T.P.C)의 경우에는 매입식으로 모재에 연결시킨다.
① stud welding은 stud bolt, 환봉(丸棒), pin 등을 직접 강판이나 형강(section shape steel)에 용접하는 것으로 stud bolt를 piston 형태의 holder에 끼우고 stud bolt와 모재 사이에 순간적으로 arc(flash)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방법이다. ② stud welding의 전기자동용접기에 공급되어야 할 200kw 이상의 전력을 확보하고, 검사는 타격 구부림 검사방법으로 실시하여 용접을 마친 stud bolt를 망치로 때려서 구부림 각도 15°용접부에 균열 기타 결함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검사 로트(lot)를 합격으로 한다. ③ stud가 모재와 용착하는 도중 대기중의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막기 위해 도기질의 wheel을 사용한다.
① 자기분말 탐상법은 용접부에 직류 또는 교류의 자력선(磁力線)을 통과시켜 자력(磁力, magnetic force)을 형성한 후, 자분(磁粉,철분가루)을 뿌려주면 결함부위에 자분이 밀집되어 육안으로 용접부 결함을 검출하는 방법이다. ② 자분이 모이는 형상을 보고 결함부위의 위치·크기·형태·범위 등을 검사할 수 있고 표면의 결함 또는 표면과 연결되지 않은 내부 2~3㎜정도까지 가능하다.
① Closed joint system은 curtain wall unit의 접합시 실내측과 실외측의 접합부를 seal재(材)로 2면접착으로 완전히 밀폐시켜 틈을 제거하는, 비처리 방식이다. ② curtain wall의 누수원인중 하나인 틈새를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비처리 방식이다. ① Open joint system은 curtain wall unit의 접합시 실내측과 실외측의 접합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실외의 기압과 같은 기압을 유지하게 하여 우수를 배수하는 비처리방식이다. ② curtain wall의 누수원인중 하나인 틈을 통해서 물을 이동시켜 압력차이로 없애는 등압이론을 이용하는 비처리 방식이다.
① Taper steel frame은 기둥과 경사지붕 보가 일체화된 산형(山形)rahmen구조(Gable Frame)로 용접 또는 고력볼트로 접합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면 대공간의 장(長) span 구조물을 구축하는 공법이다. ② Pre Engineering Building에 있어서 경제적인 골조의 한 종류이며 산형라멘구조(Gable Frame) 기둥과 경사지붕(inclined roof, 박공(牔栱 gable)의 보 부분에서 negative moment(부모멘트)가 최대가 되므로 기두의 상부를 중심으로 기둥하부와 박공쪽 단부로 갈수록 가늘게 하여 단면응력에 대응하도록 한 것으로 공장(工場, a factory), 창고(倉庫, a warehouse), 물류센터, 체육관(體育館, a gymnasium), 스포츠 센터(sport center), 쇼핑센터(shopping center), 전시관(展示館), 격납고(格納庫, a hangar) 기타 저층건물(moving shelter) 등 4층 이하 철구조물에 적용된다.
① P.E.B. System은 computer program을 이용하여 설계·구조해석·부재제작, 시공 등에 적용되는 철골구조물 건축공법이다. ② 최대 12,000㎜(120m)까지의 장(長) span으로 내부 기둥 없이 무주공간(無主空間, column free span)의 넓은 공간활용, 현장용접이 불필요한 bolt조립방식(bolting type)으로 공기단축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철골 구조물이다. ③ 일반 철골조 공사보다 공기가 30% 이상 절감되며 경제성이 뛰어나 중·대형 공장, 물류창고, 대형 market 등에 적용되고 있다.
① 기둥축소변위는 철골조 초고층 구조물 축조시 고층화, 대형화로 철골 기둥의 수직높이 증가, 하중 증가로 인해 기둥부재에 수축변위가 발생되는 현상이다. ② column shortening에 의한 수직·수평 부재의 축소는 내·외장재 및 비구조재의 추가변위를 발생시켜 구조물의 사용성을 저해하므로 설계 계획에 반영하고 시공시 자중에 의한 부재축소량의 변위를 보정한 후 시공한다.
고층건물의 지수층은 상부 구조체 공사 진행과 동시에 typical cycle로 인하여 하부 마감공사가 구획별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므로 상부 구조체 부분에서 유입되는 우수가 opening부위를 통하여 하부층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시설이다. 초고층 복합시설의 경우 고층부 골조 완료시점에 저층부 쇼핑공간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도록 Phased occupancy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기능별로 구분하여 공정간섭이 없도록 계획한다.
아웃리거 시스템은 주 코어(Main Core)와 외주부 기둥을 연결하는 큰 강성의 수평부재인 아웃리거로 구성된다. 메인 코어는 철골 가새 골조나 철근 콘크리트 전단벽으로 구성되며 주로 중앙에 위치하고 양쪽으로 아웃리거가 뻗어 있다. 또는 메인코어가 건물 한쪽에 치우쳐져 있고 아웃리거는 코어에서 반대편의 기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Tier공법은 첫 번째 절의 기둥길이를 동일하게 하며, 기둥의 이음위치를 3~4개층 1개절 단위로 하여 동일한 층에서 집단으로 연결하는 공법이다.
Unit floor공법 첫 번째 절의 기둥길이를 동일하게 하며, 지상에서 바닥판(slab)의 상하부에 설비시설(공조, 위생, 냉·난방, 자동화, 소화, 조명) 및 안전시설을 제작된 유닛 플로어(바닥 unit)을 순 철골로 가구된 구조체에 양중·설치·부착·접합하는 공법이다.
N공법은 첫 번째 절의 기둥길이를 다르게 하며, 기둥의 이음위치를 층별로 분산하여 용접, 수직도 조정 등이 용이하도록 하고 층단위로 설치하는 공법이다.
미국식 공법은 첫 번째 절의 기둥길이를 동일하게 하며, 철골부재의 설치가 완료된 후 다음 절의 철골부재 설치작업을 진행하는 동시에 조정 및 본체연결작업은 철골작업이 진행되는 바로 밑의 절에서 같은 속도로 진행하는 공법이다.
D-SEM공법은 첫 번째 절의 기둥길이를 코어와 외주부를 다르게 하며, 코어가 선행하고 외주부는 구역별로 조닝(zoning)하여 N공법과 유닛 플로어공법을 병행 시행하는 공법이다. 코어부(core)는 선행하며 외주부는 구역별로 조닝(zonning)형 N공법과 유닛 플러오(unit floor) 공법을 병행 시행하는 공법이다.
면진구조(construction of base isolation): 면진을 목적으로 한 구조.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분류된다. 면진바닥구법(floor isolation method): 기기 등을 올려놓은 바닥 부분과 구조물 본체의 바닥을 나누고, 그 사이에 면진장치를 삽입해서 본체와 기기 사이의 진동 전달을 저감토록 한 바닥구법
면진장치(isolator): 구조물에 전달되는 지반운동을 차단하여 지진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는 장치. 건축물의 중량을 떠받쳐 안정시키고, 수평방향으로 변형을 크게 하여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로 적층고무 등을 사용한다. 면진은 기존 건물과 몇 차례의 신축 건물의 설계에서 내진 보강용으로 사용되어 온 실용적인 설계법이다. 일반적으로 이 면진 시스템은 건물주가 우수한 내진 성능을 원하고 면진 장치의 설계, 조립, 설치에 수반되는 특별한 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건물의 보강과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개념은 기존의 일반적인 설계보다 비교적 신개념의 장치를 사용하는 모든 설계에 필요한 새로운 개념에 대한 검토를 한다.
층간 변위는 특정한 층에서 바로 아래 층에 대한 상대적인 수평 변위로 정의된다. 전체적인 층간 변위는 특정한 위치에서 기초에 대한 상대적인 변위이다. 인접한 건물이나 동일 건물에서 인접한 부분은 같은 진동모드를 가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서로 충돌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반 운동에 대해서 인접한 건물들이 독립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건물 분리 혹은 조인트가 적용되어야 한다. Side sway는 풍력, 지진력 등의 횡력에 대해 본 구조체의 서로 인접하는 상하 2층간의 상대변위이다. 상대변위는 어떤 하나의 부재를 기준으로 측정한 다른 부재의 변위이다. curtain wall은 골조에 하중을 전달하는 system으로 골조가 버틸 수 있는 층간변위 이내, 골조의 내진설계의 층간변위 만큼 발생시켜 줘야 한다.
경사진입로의 조면마감은 지하 경사진입로(ramp)에 진입시 차량의 미끄러짐이나 등반시 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요철성능을 가지도록 시행하는 마감이다. 경사진입로의 concrete 타설 직후 원형고무링 시공, 경화 후 cutting이나 기타 거친마감재 등을 균일하게 분포하여 설치한다.
.대린벽은 서로 직각으로 교차되는 내력벽을 말하고 그 중심선간의 거리를 벽의 길이라함, 벽에 서로 이웃하여 접착한 두 개의 다른 벽서로 이웃하여 맞붙은 2개의 다른 벽(부축벽이 있는 경우 그 높이가 부축벽이 접합되는 벽높이의3분의 1이상인 때에는 그 부축벽으로 나누어지는 양측의 벽을 포함한다)을말한다(건축물의구조기준등에관한규칙3(20))
Weep hole은 조적조의 공간 쌓기, 석축옹벽의 배면에서 들어온 침투수를 구조체 외부로 배수하기 위해서 구조체 배면에서 전면까지 통하도록 뚫은 작은 물빼기 구멍이다. 공간 쌓기의 기능장애, 석축옹벽에 걸리는 수압을 저감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설치한다.
Pointed joint는 의장적 효과를 위한 줄눈으로 돌벽돌·block·tile 등의 각 개체를 겹쳐 쌓거나 붙인 다음 접착제인 mortar를 8~10㎜ 정도 줄눈파기하고 치장용 mortar로 마무리 하는 줄눈이다. 방수 mortar 혹은 색조 mortar(착색제) 등을 사용하기도 하며 공사에 지장이 없는 한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실시한다.
외부벽 점토벽돌 시스템공법(Angle anchoring공법) 구조체 외부에 anchoring을 설치하여 angle을 고정하고 그 위에 벽돌을 쌓는 공법. 층별 또는 angle이 설치되는 단위 구간별 벽돌하중을 구조체로 정리하여 누적되는 하중이 없도록 하는 공법이다.
방습층은 벽돌조block조·석조의 경우 마루 밑 접지 부근에서 벽체를 타고 상승하는 습기 혹은 습기(수증기)의 투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asphalt pelt·roofing·mortar, 방수 mortar·cement mortar등의 불투습층(방습층)을 설치하는 수평방습층이다. 벽돌조, block조, 석조인 경우 asphalt mortar, 방수 mortar 혹은 천연 슬레이트(slate)판 등을 설치한다.
방습층 인정재료
0.1mm 이상 폴리에틸렌 필름. 투습 방수시트, 현장발포 단열재, 플라스틱 단열재, 금속재,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 지붕, 타일마감, 모르타르 마감 조적벽
A.L.C는 석회질 혹은 규산질 원료와 발포제를 강철제 탱크내(tank 內)에 넣고 고온(약 180℃)·고압(약 10기압)에서 약 15~16시간 동안 양생하여 제작된 경량 기포 concrete이다. 시멘트, 콘크리트제품의 고온, 고압 증기양생법.고압솥은 강재의 고압용기로 180℃),·고압(약 10기압) 이상의 상태에서 경화를 촉진시켜 단시간 내에 제품화할 수 있다. 말뚝, 벽패널, 상판 등의 제작에 많이 이용된다.
ALC Block 공법은 고온고압증기양생한 기포 concrete block을 건축물 혹은 공작물 등의 외벽, 칸막이벽 등으로 사용하는 공법이다. 조적식구조의 단점인 현장 습식공법과 중량물로 인한 작업의 난이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법이며 구조적역학적으로 안정된 공법이다.
내화벽돌은 SK 26(1,580℃)이상의 내화도를 갖는 벽돌로서 굴뚝제철소의 고로·도자기 가마의 연도 등에 사용하는 벽돌이다. 내화점토를 원료로 하여 소성한 벽돌로서 1종2종·3종·4종이 있고 기본 치수는 230×114×65이며 내화 mortar는 3종 이상으로 하되 그와 동질 혹은 그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① 공간쌓기는 외부벽체 쌓기에 있어서 단열, 방습 및 차음을 목적으로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을 두고 벽체를 이중으로 쌓는 방법이다. ② 내벽과 외벽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층을 형성하거나 단열재를 설치하고 수직간격 50~75cm 마다 내벽과 외벽 사이를 연결철물(wall tie)로 긴결하여 일체성 확보 및 수평, 수직력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한다.
Lintel은 창문 등의 벽면 개구부 위에 수평으로 보를 얹어 벽돌 벽면의 상부하중을 안전하게 받치는 보이다. 개구부 나비가 1m 이내는 목재 혹은 석재(인방석)로 하고, 1m를 넘는 경우 철골 혹은 concrete 보(기성제품, 현장제작)로 한다.
보강 block조는 block의 중공부분에 수직으로 보강용 철근을 배근하고 concrete를 사춤하여 수평력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 내력벽 혹은 이에 준하는 장막벽체를 구성하는 구조이다. 조적식구조의 단점인 풍압력지진력 등의 수평력에 대한 취약함을 보강하기 위한 구조이며 수직철근의 배근과 block 쌓기 및 concrete의 사춤의 용이함을 위해 통줄눈(straight joint)을 원칙으로 한다.
Bearing wall은 구조체의 자중, 적재하중 등의 수직력과 풍압력지진력 등의 수평력을 기초를 통해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하도록 하는 벽체이다. 평면상 균형 있게 배치하고, 개구부는 상하층이 수직선상에 오도록 설치하며, wall girder를 설치하고, 실내에 간벽을 많이 두는 것이 구조적으로 유리하다. 내력벽은 구조적으로 수평하중을 받으면 shearing force와 bending moment를 동시에 받게 되며, bending moment는 벽체의 단부나 문꼴 갓둘레의 철근이 받고, shearing force는 벽체가 부담한다.
Buttress wall은 측압에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외벽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는 보강용의 벽체 혹은 기둥 형태의 구조물이다. 벽체가 수평력에 저항하여 전도되지 않도록 버티거나 부축하기 위한 벽체이다.
①섬유포화점은 벌책(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는데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②함수율이 약 30% 정도일 때이며, 목재는 이 점을 경계로 하여 수축∙팽창 등의 재질 변화가 현저하게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섬유포화점, FSP: Fiber Saturation Point 섬유포화점은 벌채(벌목+벌근) 직후 목재를 건조하면 1차로 자유수(유리수)가 증발하고, 결합수(세포수)가 남고 이후 계속 건조하면 결합수가 최종적으로 증발하는데, 이 양자의 한계점이다. 목재 내의 세포 내강과 같은 빈 공극에는 물(자유수)이 없고 세포벽은 수분(결합수)으로 포화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목재 함수율이다.(by KS F 2003) 일반적으로 함수율 30%를 기준으로 하며 목재는 섬유포화점을 경계로, 수축팽창 등의 재질변화가 현저히 달라지고, 강도·신축성 등도 달라진다.
목재 방부법은 목재 건축물을 부패시키지 않기 위한 공법 및 목재를 방부제로 처리하는 공법이다. 목재의 부패원은 일정한 온도(20~40℃)·습도(90% 이상)·공기양분이 적절한 상태에서 부패균에 의해 리그닌(lignin)과 셀룰로오스(cellulose)가 용해되는 것이다. 목재의 부패원인은 적당한 온도(20~40℃)․습도(90% 이상)․공기 및 양분이 적절한 상태에서 부패균에 의해 lignin과 cellulose가 용해되는 것이다.
1.탄소섬유 SHEET보강법은 구조내력이 부족한 콘크리트 단면에 일방향 탄소섬유 시트를 접착하여 구조물의 강도, 내구성 및 내진성등의 기능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2.철보다강하고, 알루미늄보다 가벼우며 불에타지않고 녹슬지않는 고강도 및 고탄성을 지닌 소재로서 철판압착공법 대체공법으로 일반화되고 있다.
그린 리모델링: 에너지성능향상 및 효율개선이 필요한 기존 건축물의 성능을 개선하는 환경 친화적 건축물 리모델링이며, 저비용고효율 기술을 적용해 건물 냉난방 성능을 20% 이상 향상시켜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공사
에너지 절약계획서 건축물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하여 열손실 방지, 에너지 절약형 설비사용 등을 비롯하여 에너지절약 설계에 대한 의무사항 및 에너지 성능지료플 규정
건물 에너지 효율등급 인증제도는 건설사업주체(주택건설사업자)가 자발적인 신청에 의하여 18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에너지 절약적인 건물에 성능별 등급을 부여하는 인증제도이다.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등의 사용 및 종합에너지 시스템과의 연계성 등을 고려하여 일정 성능 이상의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건물에 대하여, 효율등급 기준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에너지 효율 및 절약이 우수한 건물을 보급 촉진함을 목적으로 한다.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는 정부가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연단위로 배출권(Permit)을 할당(Allocation)하여 할당범위 내에서 배출행위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할당된 사업장의 실질적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여 여분 또는 부족분의 배출권에 대하여는 사업장 간(間) 거래를 허용하는 제도이다 정부는 이 수익으로 시설 이용요금을 낮추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사업자는 손실 우려를 최소화할 수 있고, 정부는 요금 결정에 개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녹색건축 인증제 - 2013.06.28.개정, 16년 7월 21일 개정고시 녹색인증은 세제, 금융지원 등을 통해 녹색산업의 민간산업 참여 확대 및 기술시장 산업의 신속한 성장을 유인할 필요성이 대두하여, 녹색성장 목표달성 기반을 조성하고 민간의 적극 참여를 유도하여 녹색성장정책의 실질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하여 도입된 제도이다.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투자 지원 대상 및 범위를 명확히 규정 투자를 집중하고자 녹색기술 또는 녹색사업이 유망 녹색 분야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 녹색기술이라 함은 온실가스 감축기술, 에너지 이용 효율화 기술, 청정생산기술, 청정에너지 기술, 자원순환 및 친환경 기술(관련 융합기술을 포함한다) 등 사회ㆍ경제 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을 말한다.
범죄예방 환경설계인증 적절한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을 통해 대상지역의 방어적 공간특성을 높여 범죄가 발생할 기회를 줄이고 지역 주민들이 안전감을 느끼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종합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제
환경영향평가제도는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의 사업계획을 수립하려고 할 때에 그 사업의 시행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환경영향)을 미리 조사예측·평가하여 해로운 환경영향을 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각종 개발계획 및 개발사업을 수립시행하는 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리 예측·분석하고 그에 대한 저감방안을 강구함으로써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유도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제도
리스크 회피(Risk Avoidance)리스크에 대한 노출 자체를 회피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 손실을 면하는 것이다.리스크 감소(Risk Reduction)리스크에 대한 노출 자체를 회피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 손실을 면하는 것이다.리스크 감소(Risk Reduction)가능한 모든 방법을 활용하여 리스크의 발생 가능성을 저감시켜 잠재적 리스크에 대한 노출정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bond breaker는 curtain 공사의 접합부에서 U자형(字形) 줄눈에 충전하는 sealing재(材)를 줄눈 밑면에 접착시키지 않기 위해 붙이는 tape로 3면(面) 접착에 의한 파단(破斷)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sealing재는 3면 접합의 경우 curtain wall 부재의 온도 변화로 인한 신축팽창으로 sealing재가 파단되므로 2면(面) 접합으로 이를 사전에 방지한다.
LCA는건설공사시 자재 생산단계에서 건설단계, 유지관리단계, 해체폐기단계까지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물질(대기오염, 수질오염, 고형폐기물 등)의 배출과 사용되는 자원 및 에너지를 정량화하고 이들의 환경영향을 규명하는 기법이다. 목적 LCA기법은 건설공사가 환경에 미치는 각종 부하와 자원/에너지 소비량을 수행 프로젝트의 전과정에서 고려, 가능한 정량적으로 분석/평가하는 방법으로 건설공사 시 환경 부하량 평가 및 환경영향지수를 산출하므로 비교안별 검토시 설계자에게 과학적이고 객관화한 선정 근거를 제시
건설공사비 지수는 project의 각 시기별 공사비를 일정기준시점의 공사비로 환산하여 공사물량의 확인과 공사관리의 목적상 물가변동에 따른 공사비변동추이의 확인을 위해 재료비, 노무비, 경비의 가격 변화와 연동하여 산출하는 지수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특정시점(생산자 물가지수 2000년)의 물가를 100으로 하여 재료, 노무, 장비 등 세부 투입자원에 대한 물가변동을 추정하기 위해 작성된 가공통계 자료임
① Life cycle cost는 시설물의 생산부터 철거에 이르는 전체 생애주기에 걸쳐 소요되는 비용으로 project의 기획, 설계, 입찰, 계약, 시공계획(Pre-Construction), 시공, 인도(Commissioning), 운영(Running), 폐기처분(Demolition) 등 건설의 전과정에 걸쳐 발생되는 모든 비용의 총계이다. ① 생애비용 분석(Life Cycle Cost Analysis)은 시설물의 구축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대안에 대해 경제적 주기에 걸쳐서 발생하는 비용을 체계적으로 결정하기 위해 시설물의 경제수명 범위 안에서 각 대안의 경제성을 일정한 기준을 통해 환산한 값으로 평가하는 수법이다..
위험성평가: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유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의 발생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 및 결정하고 감소대책을 수림하여 실행하는 일련의 과정
VE는 어떤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function)을 확인하고 평가함으로써 그것의 가치를 개선하고, 최소비용으로 요구 성능(performance)을 충족시킬 수 있는 필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인정된 기술의 체계적인 적용이다.VE는 생애주기 원가의 최적화, 시간절감, 이익증대, 품질향상, 시장 점유율 증가, 문제해결 또는 보다 효과적인 자원 이용을 위해 사용되는 창조적인 접근 방법이다.VE는 최저의 생애주기비용(Life Cycle Cost)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 및 서비스(service)의 기능적 연구에 주력하는 조직적 노력을 체계화한 것이다.VE의 목적은 기본적으로 ‘Maximum Value for Money'에 있다.이것은 제품의 각 제조과정이나 건설사업의 각 실시단계에서 전문지식을 활용하여 계획-설계-시공방법을 제검토하고, 대안을 발견하며, 그것을 도입함으로써 비용투자효과 즉, 가치를 최대한으로 높이고자 하는데 목표를 둔다.
Data mining은 광산에서 광물을 캐내듯이 기업들이 축적해 놓은 방대한 데이터베이스(data base)에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취합해서 뽑아내는 기술이다.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새롭고 의미있는 정보를 추출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작업으로용어에 '채굴하다'라는 의미의 'mining'을 포함시킨 이유는 데이터로부터 정보를 찾아내는 작업이 마치 금이나 다이아몬드를 발견하기 전에 수많은 양의 흙과 잡석들을 파헤치고 제거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데에 기인한다.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은 대규모로 저장된 데이터 안에서 체계적이고 자동적으로 통계적 규칙(rule)이나 패턴(pattern)을 찾아 내는 것이다. 다른 말로는 KDD(데이터베이스 속의 지식 발견:knowledge-discovery in databases)라고도 일컫는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마이닝은 통계학에서 패턴 인식에 이르는 다양한 계량 기법을 사용한다. 대용량의 데이터로부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식을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지식 탐사의 한 연구분야이다.
JIT는 1970년대 일본의 도요타 자동차회사(Toyota Motor Company)에서 개발한 도요다 생산방식으로서 소롯트생산을 중심으로 한 생산관리 시스템이다. 적시(right time), 적소(right place)에 적절한 부품(부속)(right part)을 공급함으로써 생산활에서의 모든 낭비적 요소를 제거하도록 추구하는 생산관 시스템이다. JIT는 반복생산시스템(repetitive production system)에 적합한 생산관리방식으로서 건설업에 적용 시에는 그 특징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용되어야 한다.
철의 열처리 불림 불림(normalizing)은 800~1000로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까지 유지한 후에 대기중에서 냉각하는 처리를 말한다. 불림의 목적은 조직을 개선하고 결정을 미세화하기 위함이다. 풀림 풀림(annealing)은 강을 연화(軟化)하거나 내부응력을 제거할 목적으로 실시한다. 풀림은 불림과 같이 가열하여 소정의 시간가지 유지한 후에 로(爐) 내부에서 서서히 냉각하는 처리를 말한다. 담금질 담금질(quenching)은 고온으로 가여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유지한 후에 냉수, 온수 또는 기름에 담가 냉각하는 처리를 말한다. 담금질한 강은 강도나 경도가 증가하고 마모가 작아진다. 뜨임질 뜨임질(tempering)은 불림하거나 담금질한 강을 다시 200~600로 수십분 가열한 후에 공기 중에서 냉각하는 처리를 말한다. 뜨임질의 목적은 경도를 감소시키고 내부응력을 제거하며 연성과 인성을 크게 하기 위해 실시한다.
MBO는 개인의 능력발휘와 책임소재를 명확히 하고, 미래의 전망과 노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여 팀워크(teamwork)를 조성하게 해서 관리원칙에 따라 관리하고 자기통제(management and selfcontrol)하는 행위과정을 MBO라 한다.(by 피터 드러커(Peter Ferdinand Drucker) MBO는 관리자 자신이 자기개발과 조직에 공현하기 위해서 설정된 기업의 이익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시키기 위한 기업의 욕구를 통합․조정하는 동태적 시스템이다.(by 험블(John W. Humble) MBO란 개별 조직구성원에게 기대되는 성과를 사전에 구체적으로 표시하고, 아울러 창의성과 적극성에 의한 자기통제를 중심으로 실현을 꾀하며, 한편으로는 실제적인 성과를 측정․ 평가한 결과를 각 해당 부문에 피이드백(feedback)시켜서 기업과 개인의 성장을 통합시키는 종합적 시스템이다.
SCM은 수주에서 납품까지의 공급사슬 전반에 걸친 다양한 사업활동을 통합하여 상품의 공급 및 물류의 흐름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변화에 고객, 소매상, 도매상, 제조업 그리고 부품, 자재 공급업자 등으로 이루어진 Supply Chain 전체를 기민하게 대응시켜 전체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SCM은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변화에 Supply Chain 전체를 기민하게 대응시켜 Dynamic하게 최적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SCM은 고비용, 저효율이라는 현실을 대면하고 있는 기업에 있어서 필수적인 생존 수단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Supply Chain이란 고객, 소매상, 도매상, 제조업, 부품/자재 Supplier등의 공급활동의 연쇄구조를 나타낸다.+
빌딩풍(building wind)은 고층빌딩 사이에 일어나는 풍해(風害). 지상 150m 이상의 빌딩이 건립되면 상공에서는 바람이 일정 방향으로 불어도 아래쪽에서는 바람이 빌딩의 주위에서 소용돌이치고 급강하 하거나 풍속이 2배 이상으로 빨라지기도 하며 때로는 무풍(無風)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간판이나 지붕이 날려가거나 전선이 끊어질 때도 있다. 또 연기나 배기가스가 소용돌이현상으로 지상에 흘러서 국지적(局地的)인 대기오염이 발생하여 고층빌딩이 밀집한 대도시의 새로운 도시공해로 나타난다. 빌딩풍은 고층빌딩 사이에 일어나는 풍해(風害)이다. 지상 150미터 이상의 빌딩이 건립되면 상공에서는 바람이 일정 방향으로 불어도 아래쪽에서는 바람이 빌딩의 주위에서 소용돌이치고 급강하 하거나 풍속이 2배 이상으로 빨라지기도 하며 때로는 무풍(無風) 상태가 된다.
Wind tunnel test는 curtain wall 공사 시작전, 구조물의 완성후 예상되는 문제점을 사전에 파악하여 설계시공시 수정·보완하기 위한 test이다. 구조물 완성후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설계의 수정보완을 위해 실시하며, 구조물 주변의 기류(building wind)를 파악하여 풍해(wind damage)의 예측 및 대책 수립을 위한 시험이다. Wind tunnel test는 고층 혹은 초고층 건축물의 model을 통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으로 실제 주변과 유사한 인공 시설물과 자연의 특정조건중 바람에 관해 집중적으로 실험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주변반경 600~1200m의 인공적인 지형, 지물, 건물배치를 축적모형으로 제작하고 원형 turn table의 풍동속에 설치한 후 과거 10~100년 전까지의 최대 풍속을 가하여 실험한다.
Mock up test는 curtain wall의 변위측정온도변화에 의한 변형·변위·누수·방수·접합부 검사·유리의 열손실 등을 시험하기 위하여 풍동실험을 근거로 수정·보완된 실물모형을 시험소에서 최악의 외기조건으로 실시하는 test이다. Mock up test는 외기의 영향으로 인한 curtain wall의 사용상, 안전상의 문제점을 사전검토하는 단계로 나아가 설계로서는 검증할 수 없는 실제적 문제를 실물 모형으로 설치하여, curtain wall 설치 및 그 후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문제점을 검증해보는 시험이다.
Curtain wall의 field test는 미리 Laboratory test 혹은 이미 검증된 설계로 시공된 curtain wall의 성능이 요구성능을 충족하도록 시공되었는지를 직접 현장에서 실시하여 현장 여건에 적합한지는 확인하는 시험이다. 현장에 설치된 Exterior wall에 대해 기밀성과 수밀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공된 curtain wall이 요구성능을 만족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이다.
SGS(Structural Glazing System) SSGS; 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S.P.G(Structural Point Glazing) ① S.S.G.S 공법은 외벽 창호공사 curtain wall에서 유리를 sealant로만 고정하여 외부에 metal mullion이 노출되지 않는 공법이다. ② 기존 설치방식과는 다르게 유리의 frame을 유리의 뒷면에 배치하여 sealant로 고정하는 공법으로 탁월한 안정성을 유지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개방감과 채광성을 보장해주는 system이다. DPG system DPB.; Dot Point Glazing, S.P.G.; ① DPG system은 유리에 특수 hole 가공을 한 후 bracket과 hinge bolt로 판유리(sheet glass)와 판유리를 고정해주는 no frame system이다. ② frame 이나 구조용 silicon을 사용하지 않는 공법으로 탁월한 안정성을 유지하며 뛰어난 디자인으로 개방감과 채광성을 보장해주는 system이다. SSG 공법 S.S.G.(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 공법, SSG(Structural Sealant Glazing System)공법 ① 외벽 창호공사 curtain wall에서 glass mullion에 구조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유리를고정하는 방법이다
CM for fee는 service를 제공하고 그에 상응하는 용역비(fee)를 지급받는 자문 혹은 대행인(agency)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CMr이 발주자의 대리인으로서 참여하는 계약 형태로 용역서비스에 대한 대가(fee)를 받는 M형태이다. 이 때 사업관리자는 시공자(보통의 경우, 전문 시공업자 또는 하도업자)나 설계자와는 직접적인 계약관계가 없으며 따라서 공사결과 즉, 공사비용, 기간, 품질 등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궁극적인 의사결정과 그에 따른 최종 책임은 발주자의 몫이 된다. “Agency CM is a fee-based service in which the construction manager is responsible exclusively to the owner and acts in the owner's interests an every stage of the project”: CM은 발주자의 대행인(Agent)으로서 건설관리업무를 수행하여 이에 대한 수수료를 보상받으며, 프로젝트의 성패에 따른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건축시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친화형 주택- 건축시공기술사 109회 1교시 (0) | 2022.12.27 |
---|---|
철거공사 중 해체공법 종류와 특징 (2) | 2022.12.25 |
건축물 해체(철거)제도, 해체계획서 작성 (0) | 2022.12.25 |
내화구조 vs 방화구조 vs 방화구획 (0) | 2022.12.25 |
고강도 콘크리트 (0) | 2022.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