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시공기술사

건축공사 중 금속의 부식(건축시공기술사 기출)

by 정확한 해설 2023. 2. 8.

개요

부식이란 금속재료가 접촉환경과 반응하여 산화및 파괴되는 현상

부식은 부식환경에 따라 전면부식 국부부식으로 분류

종류

전면부식 : 금속 표면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일어나는 부식, 금속자체 및 환경이 균일한 조건에서 발생

공식 : 스테인스강과 같이 표면에 생성된 부동태막으로 내식성이 유지되는 금속에서 표면의 일부가 파괴되어 내부노출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부식이 진행

틈부식 : 금속표면사이 특정물질이 접촉되어 있거나 부착되어 있는경우 형성된 틈에서 발생하는 부식

이종금속 접촉 부식 : 이종금속의 전위차에 의하여 전위가 낮은쪽의 금속이 전자를 방출하여 비교적 빠르게 부식됨. 동정의 금속을 사용하거나 접합시 절연체 삽입


철근콘크리트에서 부식

철근에 녹층이 형성되면 그 팽창에 의한 인장력에 의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나 박리가 일어나고, 자중이나 활하중에 의하여 탈락할 수도 있다.

균열과 층간박리가 진행되면 염분, 산소 및 습기가 침입하기 쉽게되고 부식은 더욱 촉진된다.


예방법

  1. 금속의 재질변화 : 열처리, 스텐레스강 사용
  2. 부식 환경 제거 : 수분, 산소 제거
  3. 비전도체 설치
  4. 금속 표면 피복법 : 방청도료 도포
  5. 희생양극법 : 전위차가 큰 금속 설치하여 대신 산화하도록 함
  6. 전위법 : 전하를 인위적으로 공급하여 부식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