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내화구조 vs 방화구조 vs 방화구획
정확한 해설
2022. 12. 25. 11:45
내화구조 vs 방화구조
구분 | 내용 | 비고 | |
방화구조 | 화재의 확산을 막는구조 방화재료 방화구획에 의한 확산방지 |
철근 콘크리트 10cm 철골조 + 양면 철망모르타르 4cm 19cm 벽돌조 ALC 블럭 10cm |
|
내화구조 | 화재에 견딜수 있는구조 내화시간 기준에 따른 내화성능확보 |
철망모르터 바름 2cm 석고판 + 시멘트 모르타르 2.5cm 시멘트위 타일 2.5cm |
방화재료의 구분
불연재료 | 준불연재료 | 난연재료 |
불에타지 않음 | 불연재료에 준함 | 불에 잘 타지 않음 |
가열후 20분간 최고온도가 최종평형온도 20k초과 상승하지 않으며, 가열종료후 시험체 질량 30%이하감소 (최종 평형온도 : 20분간 평형에 도달하지 않았을떄 최종1분간 평균온도) |
가열개시후 10분간 총방출열량 8MJ/m2 10분간 가열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유해한 균열, 구멍등이 없음 |
가열개시후 5분간 총방출열량 8MJ/m2 5분간 가열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유해한 균열, 구멍등이 없음 |
시험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 행동정지시간 9분이상 | ||
콘크리트, 석재, 벽돌,철강, 유리, 알미늄, 글라수울, 시멘트판, 섬유시멘트판, 석고시멘트판 |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 난연합판, 난연플라스틱판 |
방화구획
면적별 | 10층이하 1000m2마다 11층이상 200m2마다[내장재가 불연재인경우 500m2마다] *자동소화설비시설 설치시 상기 3배 |
층별구획 | 매층마다 구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