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2 저감형 | 저탄소 콘크리트 |
폴리머 콘크리트 | |
환경부하 저감형 | 순환골재 콘크리트 |
흡음콘크리트 | |
투수콘크리트 | |
생물대응형 | 식생 콘크리트 |
수질정화콘크리트 |
- 저탄소콘크리트
- 시멘트를 혼화재로 다량치환하여 콘크리트 제조
- FLY ASH 및 고로 SLAG 활용
- CO2 저감효과 및 콘크리트의 장기강도 증가 가능
- 초기강도가 부족하고 탄산화 저항성이 감소
- 일반콘크리트와 동일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 강도 증가, 블리딩 감소, 균열저감 및 온실가스 발생량 저감 가능
- 폴리머콘크리트
- 무기질 CEMENT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질 Polymer만으로 콘크리트를 제조
- 폴리머, 폴리머 시멘트, 폴리머 함침 콘크리트
- 골재와의 접착성, 동결융해 저항성, 방수성 우수
- 시멘트 사용이 줄어 건조수축량 감소 및 이산화 탄소 배출량 감소
- 순환골재 콘크리트
- 폐콘크리트의 재활용골재(순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 순환골재 사용은 전체 골재 용적의 30%이하로 천연골재와 혼합 사용
- 비구조체 등 강도가 요구되지 않는 콘크리트에 사용
- 흡음콘크리트
- 일반 콘크리트와 동일한 시공성을 확보하면서 강도 증가, 블리딩 감소, 균열저감 및 온실가스 발생량 저감 가능
- 투수콘크리트
- 입경이 작은 굵은 골재만을 사용한 다공질의 투수성이 있는 콘크리트
- 주차장 바닥 및 보도블록 재료로 활용가능
- 우수의 지중침투를 유도하여 도시의 배수시설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도시하천의 범람을 방지
- 식생콘크리트
-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 콘크리트
- 법면 시공시 안정화 및 녹지화 도모
- 옥상, 법면, 실내, 옥외시설 등 구조물의 녹지화 활용
- 수질정화 콘크리트
- 공극 표면에 미생물을 부착시켜 수질정화 기능을 하는 콘크리트
- 하천 바닥 및 수처리 시설에 활용 가능
'건축시공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lf P.C slab 유형과 특징, 시공시 유의사항 (0) | 2023.03.24 |
---|---|
콘크리트 압송장비 운용방법 (CPB) (0) | 2023.03.24 |
내화피복공법 (0) | 2023.03.24 |
모듈러 공법의 장단점과 공법별 특징 (0) | 2023.03.24 |
기초안전보건교육 (0) | 2023.03.23 |